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의사봉을 두드리는 모습. [사진=장선아 기자]
17일 한국은행의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 본회의 시작을 앞두고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많이들 오셨다"며 "왜 이렇게 많이들 오셨냐"고 말했다.
이날 이 총재는 오전 9시께 남색 재킷에 푸른색 넥타이를 착용한 채 회의실에 등장했다. 이 총재는 이내 곧 자리에 착석해 의사봉을 3차례씩 두 번 두드린 후 취재진에게 "이따가 내려가서 뵙겠다"며 퇴실을 요청했다.
앞서 오전 8시 58분께는 유상대·신성환·장용성·황건일·김종화·이수형 금통위원이 회의장에 동시 입장했다. 이날 회의장에는 여느 때보다 무거운 긴장감이 감돌았다.
시장에서는 이날 한은이 금리를 현행 2.75%로 동결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발(發) 글로벌 관세 전쟁으로 경기 하방 압력이 커졌지만 급등한 환율과 가계부채 부담이 금리 인하를 가로막는 요인이다. 한은이 지난해 10월 금리 인하기에 접어든 이후 올 2월까지 총 세 번의 인하를 단행한 만큼 이번 회의에서는 숨고르기에 들어갔다가 다음 달 인하를 재개할 가능성이 높다.
지난 2월 회의에서는 소수의견 없이 금통위원 만장일치로 금리 인하가 이뤄졌지만 3개월 후 금리 수준에 대해서는 금통위원별로 의견이 갈린 바 있다. 금통위원 6명 중 4명은 대내외 정책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금리의 추가 인하 여력이 빠르게 소진되는 것에 우려를 들었다.
회의에 앞서 아주경제신문이 국내 거시경제·채권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한 결과 9명이 이날 금통위가 금리를 동결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내수 부양이 시급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폭탄 충격으로 이달 초 환율이 하루새 30원 이상씩 널뛴 만큼 외환시장 불안 요인이 확대됐다는 점에서다. 이날 환율이 올해 들어 가장 낮은 1410원대에서 거래되고 있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추가 관세 발언 등 대외 변수에 따라 언제든 재급등할 여지가 있다.
이번에 금리를 인하가 단행될 경우 부동산 시장과 가계부채가 불붙을 수 있다는 점도 금리 동결에 무게가 실린다. 실제로 지난 3월 서울 강남권을 중심으로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이 일시 해제되자,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불과 두 달 만에 2.3배 급증했다. 거래 과열 조짐에 정부가 곧바로 토허제를 재지정했지만, 한은 입장에서는 자칫 금리 인하가 투기 수요를 자극하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정책 결정에 부담이 커졌다.
다만 회의가 임박할수록 '4월 선제 인하설'도 거론되고 있다. 다음 5월 금통위가 6월 대통령 선거 직전이라는 점에서 통화정책 결정이 정치적 메시지로 해석될 수 있다는 부담을 피하기 위해 이번에 미리 인하 카드를 꺼내들 수 있다는 해석이다.
또 정부가 12조원대 필수추경을 발표한 가운데 내수 심각성을 고려해 금리 인하도 동시에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기획재정부가 다음 주 추경안을 제출하면 국회를 통과해도 빨라야 5월 초 예산이 편성될 수 있는 만큼 4월 금리를 인하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추경 집행이 늦어질 경우 소비·투자 회복이 지연되면서 성장률에 대한 하방 압력도 한층 커질 수 있다.
한편 한은은 기준금리 결정 결과를 이날 오전 10시를 전후로 발표한다. 오전 11시 10분께 열리는 통화정책방향 설명회에서는 최근 경제 여건에 대한 한은 금통위의 평가와 향후 통화정책 운영 방향을 엿볼 수 있다.
이날 이 총재는 오전 9시께 남색 재킷에 푸른색 넥타이를 착용한 채 회의실에 등장했다. 이 총재는 이내 곧 자리에 착석해 의사봉을 3차례씩 두 번 두드린 후 취재진에게 "이따가 내려가서 뵙겠다"며 퇴실을 요청했다.
앞서 오전 8시 58분께는 유상대·신성환·장용성·황건일·김종화·이수형 금통위원이 회의장에 동시 입장했다. 이날 회의장에는 여느 때보다 무거운 긴장감이 감돌았다.
시장에서는 이날 한은이 금리를 현행 2.75%로 동결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발(發) 글로벌 관세 전쟁으로 경기 하방 압력이 커졌지만 급등한 환율과 가계부채 부담이 금리 인하를 가로막는 요인이다. 한은이 지난해 10월 금리 인하기에 접어든 이후 올 2월까지 총 세 번의 인하를 단행한 만큼 이번 회의에서는 숨고르기에 들어갔다가 다음 달 인하를 재개할 가능성이 높다.
회의에 앞서 아주경제신문이 국내 거시경제·채권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한 결과 9명이 이날 금통위가 금리를 동결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내수 부양이 시급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폭탄 충격으로 이달 초 환율이 하루새 30원 이상씩 널뛴 만큼 외환시장 불안 요인이 확대됐다는 점에서다. 이날 환율이 올해 들어 가장 낮은 1410원대에서 거래되고 있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추가 관세 발언 등 대외 변수에 따라 언제든 재급등할 여지가 있다.
이번에 금리를 인하가 단행될 경우 부동산 시장과 가계부채가 불붙을 수 있다는 점도 금리 동결에 무게가 실린다. 실제로 지난 3월 서울 강남권을 중심으로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이 일시 해제되자,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불과 두 달 만에 2.3배 급증했다. 거래 과열 조짐에 정부가 곧바로 토허제를 재지정했지만, 한은 입장에서는 자칫 금리 인하가 투기 수요를 자극하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정책 결정에 부담이 커졌다.
다만 회의가 임박할수록 '4월 선제 인하설'도 거론되고 있다. 다음 5월 금통위가 6월 대통령 선거 직전이라는 점에서 통화정책 결정이 정치적 메시지로 해석될 수 있다는 부담을 피하기 위해 이번에 미리 인하 카드를 꺼내들 수 있다는 해석이다.
또 정부가 12조원대 필수추경을 발표한 가운데 내수 심각성을 고려해 금리 인하도 동시에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기획재정부가 다음 주 추경안을 제출하면 국회를 통과해도 빨라야 5월 초 예산이 편성될 수 있는 만큼 4월 금리를 인하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추경 집행이 늦어질 경우 소비·투자 회복이 지연되면서 성장률에 대한 하방 압력도 한층 커질 수 있다.
한편 한은은 기준금리 결정 결과를 이날 오전 10시를 전후로 발표한다. 오전 11시 10분께 열리는 통화정책방향 설명회에서는 최근 경제 여건에 대한 한은 금통위의 평가와 향후 통화정책 운영 방향을 엿볼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