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이 세대가 공존할 수 있는 일자리 구조를 만들기 위해 정년 유연화와 계속 고용제 도입을 추진한다. 또 공정한 보상 체계를 구축하고자 현행 연공서열 임금체계를 직무성과급 중심으로 개편할 예정이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1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정년은 끝이 아닌 경험이 자산으로 전환되는 시작이어야 한다"며 "정년 유연화와 계속 고용제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중장년층의 경륜이 우리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노동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겠다는 설명이다.
이와 관련해 "고령화가 현실이 되고 국민 건강을 비롯해 제반 여건이 크게 바뀌었는데도 현행 정년은 60세 머물러있다"며 "일할 능력을 충분히 갖추고, 일하겠다는 의지가 있어도 단지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기계적 정년에 묶여 직장을 그만둬야 한다"고 현 상황을 지적했다.
그러면서 "현재 63세에서 향후 65세까지 상향될 연금 수령 시기와도 심각한 불일치 문제를 불러왔다"며 "지금의 정년 체계 그대로 두면 숙련 인력들이 일터를 떠날 수밖에 없게 되고, 정년과 연금 사이 공백으로 국민 노후가 불안해진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연공서열 임금 체계의 낡은 틀 안에서 청년의 창의도, 기업의 혁신도 꽃 피우기 어렵고, 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도 보장할 수 없다"며 "직무성과급 중심 임금 체계 개편을 추진하겠다"고도 말했다.
이어 "임금 총액은 유지하되 초임자와 고연차 간 보수 격차를 완화하고, 성과 책임이 연동되는 구조를 바꾸겠다"면서 "특히 능력 있는 젊은 인재의 실질적 기회를 보장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청년에겐 더 많은 기회를, 중장년에겐 합당한 존중, 어르신들껜 생활 안정을 드리는 개혁을 추진하겠다"며 "기업이 창의와 역동이 살아나는 노동 시장을 만들겠다"고 다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