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공장 투자비 30% 절감"… 정부-산업계, 제조업 혁신 가속

  • 대한상의·산업부, 17일 '산업AI 전략 세미나' 개최

  • 이승렬 산업부 실장 "산업AI·에이전트 구축필요"

사진김정훈 기자
장영재 KAIST 산업시스템공학과 교수가 17일 서울 중구 상의회관에서 열린 '산업AI 전략(M.A.P) 세미나'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김정훈 기자]

정부와 산업계가 제조업 현장에 인공지능(AI) 기술을 본격적으로 도입하며, 공장 투자비를 최대 30%까지 절감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 중이다. 산업AI는 생산성 향상과 비용 절감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전략으로, 글로벌 경쟁이 격화되는 상황에서 국가 산업 경쟁력을 좌우할 핵심 요소로 떠오르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최태원 회장)와 산업통상자원부(안덕근 장관)는 17일 서울 중구 상의회관에서 '산업AI 전략(M.A.P) 세미나'를 공동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제조업 현장에서 AI 기술이 실제로 적용된 사례를 공유하고, 산업AI 확산을 위한 민관 협력과 정책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기조연설에 나선 장영재 KAIST 산업시스템공학과 교수는 "글로벌 IT 기업들이 제조업에 진출하고 있으며, 미국은 제조업에 다시 집중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산업AI를 통해 주도권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AI 도입은 늦었지만, 산업AI와 제조AI 분야는 여전히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덧붙였다.

장 교수는 물류 자동화 솔루션 기업 다임리서치의 사례를 소개하며 "로봇을 가상 시스템이 제어하는 방식으로 전환함으로써 공장 투자비를 30%까지 절감했다"며 "우리나라도 제조 현장을 산업AI 테스트베드로 삼아야 한다"고 제안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세미나를 통해 '산업AI 확산 10대 과제'를 중심으로 정책 방향을 발표했다. 산업부는 △생산성 정체와 고령화 △글로벌 공급망 불안 등 구조적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산업AI를 핵심 전략으로 채택했다고 밝혔다.

10대 과제는 △선도 프로젝트 발굴 △우수 사례 확산 △산업 데이터 확보·활용 △산업AI 전문 인재 양성 △제조-IT 기업 간 협력 생태계 조성 등으로 구성됐다. 산업부는 이 같은 전략을 통해 산업 현장의 문제 해결은 물론, AI 기반 제조혁신의 전면 확산을 꾀한다는 방침이다.

엄재홍 DN솔루션즈 상무는 "산업AI의 진정한 성과는 상호 운용성 확보에 달려 있다"며 "국가 주도의 표준화와 실무 가이드라인 제정이 병행돼야 기업들이 안정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허영신 마키나락스 부사장이 AI 솔루션의 현장 적용 사례를, 송단비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이 산업AI 기업 활용 현황을 발표했다.

이승렬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인구 감소, 생산성 저하, 통상 갈등 등 산업 구조 전반의 위기 속에서 산업AI는 경쟁력 회복을 위한 열쇠"라며 "현장 중심의 특화형 AI 모델과 에이전트를 구축해 제조업의 지능화·자율화를 가속하겠다"고 밝혔다.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제조업은 우리 산업의 뿌리이며, AI 적용이 가장 현실적이고 파급력 있는 분야"라며 "중국이 빠르게 산업AI를 도입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도 민관이 힘을 모아 기술 주도권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