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에 따라 수출 시장 다변화와 환율 변동성 대응 등의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이하 중견련)는 17일 산업통상자원부, 한국무역보험공사와 공동으로 '중견기업 글로벌 리스크 대응 전략 세미나'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이날 행사는 한국 수출의 17.8%가량을 차지하는 중견기업의 글로벌 리스크에 대한 대응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장민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세미나에서 "중국의 저가 물량 공세가 의류, 잡화, 플라스틱, 화학 등 업종의 중견기업에 크게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이들 업종 기업은 수출 대상국을 다변화하는 등 위기 대응 전략을 시급히 가동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 연구원은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 주요 대상국인 한국의 경우 높은 한·미 금리차, 내수 부진, 대내 정치 불확실성 등의 요인으로 다른 나라들보다 더 큰 불확실성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그는 "대내외 환경 변화의 추이를 살펴 공격적인 경제 활동보다는 부채 관리나 재무 건전성 강화 등 안정성 기반을 강화해 실기의 여지를 줄여야 한다"며 "또한 전자제품, ICT, 배터리 등 경쟁력 있는 품목의 미국 시장 진출 확대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급격한 환율 변동에 따른 실효적인 환율 대응 전략도 제안했다. 정민규 한국무역보험공사 환위험관리팀장은 수출입 대금 손실을 보전할 수 있는 환변동보험을 비롯해 수출입 금융 지원 제도를 활용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박종우 하나은행 외환파생상품영업부 과장은 선물환, 통화스와프, 통화 옵션 등 환 헤지 수단을 중심으로 환율 고정 계약을 통해 수익 안정성을 확보하고, 옵션을 활용한 환율 변동 대응 방안 등을 소개했다.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최근 5년간 중견기업 실태조사에서 '환율 변동에 따른 환차손'이 중견기업의 가장 큰 수출 애로로 지목될 만큼 환율은 기업의 단기적 손익은 물론 중장기 경영 전략 수립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며 "트럼프 정부 관세 정책의 직접적인 피해를 최소화하고 미국의 중국 배제에 따른 풍선효과의 명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업종별 맞춤형 지원 체계가 구축될 수 있도록 정부, 국회와 긴밀히 소통해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