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성준 "가계부채 비율 감소는 '착시효과'...'빚 못 갚는 연체율' 상승"

  • "내란으로 장기화된 내수 침체 활로 뚫어야"...'지역사랑상품권' 언급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이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이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이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감소했다는 정부의 발표에 "착시효과일 뿐"이라며 "빚 못 갚는 연체율이 상승됐다는 게 오히려 우리 경제 실상을 잘 말해주고 있다"고 밝혔다. 

진 정책위의장은 17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최상목 경제부총리는 민생 경제와 재정 파탄의 주범"이라며 "최 부총리가 지난 경제분야 대정부 질문에서 물가 안정, 가계부채 비율 감소, 소득 지표 개선과 출생율 반등을 '윤석열 정부의 성과'라 큰 소리 쳤다. 어쩌면 그렇게 낯 두꺼운 소리를 할 수 있나 모르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진 정책위의장은 "물가는 안정된 게 아니라 오른 채로 굳어진 것"이라며 "소득 지표는 고소득 가구의 소득 점유율 감소에 따른 것이라 서민의 살림살이가 나아진 게 절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진 정책위의장은 "가계부채 비율도 보험약관 대출을 가계부채에서 제외하는 국제회계기준 변경에 따른 '착시효과'일 뿐"이라며 "빚 못갚는 연체율이 상승됐다는 게 오히려 우리 경제 실상이라는 점을 말해준다"고 설명했다. 

특히 진 정책위의장은 "내란으로 장기화된 내수 침체 활로를 뚫어야 한다"며 "(정부가 주장하는) 12조원 '찔끔' 추가경정예산(추경)으로 어림도 없다"고 말했다. 그는 "과감한 소비 진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지역화폐 발행이야 말로 가장 적은 예산으로 가장 큰 효과를 낼 수 있다. 시장과 골목에 돈이 돌게 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