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통계청]
정부의 농촌 소멸 대응 정책에도 농가 인구 감소와 고령화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70세 이상 농가 경영주의 비율이 전체 농가의 절반을 넘어 청년농 유입이 시급한 상황이다.
통게청이 17일 발표한 '2024년 농림어업조사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1일 기준 우리나라 농가 인구는 200만4000명으로 전년보다 8만5000명(4.1%) 줄었다.
농가는 97만4000가구로 전년보다 2만5000가구(2.5%)가 줄었다. 농가와 관련 인구 감소는 고령에 따른 농업포기와 전업의 영향이 컸다.
연령별 농가 인구는 70세 이상이 78만5000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 역시 고령화로 1년 만에 1만7000명이 늘어난 규모다. 이어 60대가 61만1000명, 50대가 28만1000명 순이었다.
65세 이상 농가 고령인구의 비율은 55.8%로 전년 대비 3.2%포인트 증가했다. 농촌 인구 2명 중 1명 이상이 노인인 셈이다.
이는 1986년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래 가장 높은 수치며 우리나라 전체의 고령 인구 비율인 20.0%와 견줘도 2.8배 높은 규모다.
경영주 연령은 70세 이상이 49만5000가구로 전체 농가의 50.8%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이어 60대 32만2000가구, 50대 12만5000가구 순으로 조사됐다.
경지규모를 기준으로 1.0ha 미만 농가는 72만 가구로 전체 농가의 74.0%를 차지했다. 지난해보다 소규모 농가의 수는 줄었지만, 비율은 늘었다.
경영형태별 농가의 비율은 논벼가 37.4%로 가장 많았고 채소·산나물 22.4%, 과수 17.1% 순이었다.
과수재배 농가는 떫은감이 전체 농가 중 5.2%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사과(3.9%), 복숭아(3.7%) 순으로 조사됐다. 가축사육 농가는 한우(5.3)%가 제일 많고 닭(2.2%), 젖소(0.3%), 돼지(0.3%) 순이었다.
농축산물 판매금액이 1000만원 미만인 농가는 전체 농가의 64.3%를 차지했다. 1년 전보다 0.2%포인트 감소했다. 판매금액이 1억원 이상인 농가의 비율은 지난해와 동일한 4.2%로 집계됐다.
어가와 임가의 고령화도 이어졌다.
지난해 어가는 4만1000가구, 어가 인구는 8만4000명으로 각각 2.1%, 3.6% 감소했다. 어가 인구 중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50.9%로 전년대비 2.9%포인트 늘었다.
같은 기간 임가는 9만8000가구, 임가 인구는 20만명으로 각각 1.2%, 2.2% 줄었다. 임가 인구 중 65세 이상 고령화 인구는 56.4%로 전년 대비 3.5%포인트 증가했다.
통게청이 17일 발표한 '2024년 농림어업조사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1일 기준 우리나라 농가 인구는 200만4000명으로 전년보다 8만5000명(4.1%) 줄었다.
농가는 97만4000가구로 전년보다 2만5000가구(2.5%)가 줄었다. 농가와 관련 인구 감소는 고령에 따른 농업포기와 전업의 영향이 컸다.
연령별 농가 인구는 70세 이상이 78만5000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 역시 고령화로 1년 만에 1만7000명이 늘어난 규모다. 이어 60대가 61만1000명, 50대가 28만1000명 순이었다.
이는 1986년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래 가장 높은 수치며 우리나라 전체의 고령 인구 비율인 20.0%와 견줘도 2.8배 높은 규모다.
경영주 연령은 70세 이상이 49만5000가구로 전체 농가의 50.8%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이어 60대 32만2000가구, 50대 12만5000가구 순으로 조사됐다.
경지규모를 기준으로 1.0ha 미만 농가는 72만 가구로 전체 농가의 74.0%를 차지했다. 지난해보다 소규모 농가의 수는 줄었지만, 비율은 늘었다.
경영형태별 농가의 비율은 논벼가 37.4%로 가장 많았고 채소·산나물 22.4%, 과수 17.1% 순이었다.
과수재배 농가는 떫은감이 전체 농가 중 5.2%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사과(3.9%), 복숭아(3.7%) 순으로 조사됐다. 가축사육 농가는 한우(5.3)%가 제일 많고 닭(2.2%), 젖소(0.3%), 돼지(0.3%) 순이었다.
농축산물 판매금액이 1000만원 미만인 농가는 전체 농가의 64.3%를 차지했다. 1년 전보다 0.2%포인트 감소했다. 판매금액이 1억원 이상인 농가의 비율은 지난해와 동일한 4.2%로 집계됐다.
어가와 임가의 고령화도 이어졌다.
지난해 어가는 4만1000가구, 어가 인구는 8만4000명으로 각각 2.1%, 3.6% 감소했다. 어가 인구 중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50.9%로 전년대비 2.9%포인트 늘었다.
같은 기간 임가는 9만8000가구, 임가 인구는 20만명으로 각각 1.2%, 2.2% 줄었다. 임가 인구 중 65세 이상 고령화 인구는 56.4%로 전년 대비 3.5%포인트 증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