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7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며 개회 선언을 하고 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7일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과 관련해 "2월 경제전망인 1.5%를 하회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한 한은은 올해 1분기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 총재는 이날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연 2.75%로 동결한 뒤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2월 전망 당시 예상했던 것보다 관세 정책이 상당히 강화된 것이 성장률 하향 요인으로 작용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은은 다음 달 29일 수정 경제전망을 통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5%에서 하향 조정할 것으로 보인다.
한은은 같은 날 배포한 '경제 상황 평가'에서 1분기 성장률은 2월 전망치 0.2%를 밑돈 것으로 추정되며, 소폭의 마이너스 성장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올해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지난 전망인 750억 달러를 하회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은은 "2월 전망 이후에도 예상치 못한 부정적인 충격들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1분기 성장세가 당초 예상보다 약화했다"고 진단했다. 구체적으로 "국내 정치 불확실성의 장기화와 미국 관세 정책에 대한 우려로 3월 경제 심리가 다시 위축됐다"며 "대형 산불, 일부 건설 현장의 공사 중단, 고성능 반도체 수요 이연 등과 같은 일시적 요인들까지 겹치면서 내수와 수출 모두 하방 압력이 증대됐다"고 평가했다.
한은에 따르면 우리 경제성장률에 대해 지난 10일 기준 주요 40여개 투자은행(IB) 등 시장 참가자들의 전망치 중윗값은 1.4%, 하위 25% 값은 1.1%이다.
이 총재는 "향후 무역협상 진행으로 국가별 최종 관세는 어떻게 진행되는지 추경이 언제 어떤 규모로 진행될지, 경제 심리가 얼마나 빨리 회복될지 불확실성이 너무 커서 올해 성장률을 아직 예단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이날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연 2.75%로 동결한 뒤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2월 전망 당시 예상했던 것보다 관세 정책이 상당히 강화된 것이 성장률 하향 요인으로 작용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은은 다음 달 29일 수정 경제전망을 통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5%에서 하향 조정할 것으로 보인다.
한은은 같은 날 배포한 '경제 상황 평가'에서 1분기 성장률은 2월 전망치 0.2%를 밑돈 것으로 추정되며, 소폭의 마이너스 성장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올해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지난 전망인 750억 달러를 하회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은은 "2월 전망 이후에도 예상치 못한 부정적인 충격들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1분기 성장세가 당초 예상보다 약화했다"고 진단했다. 구체적으로 "국내 정치 불확실성의 장기화와 미국 관세 정책에 대한 우려로 3월 경제 심리가 다시 위축됐다"며 "대형 산불, 일부 건설 현장의 공사 중단, 고성능 반도체 수요 이연 등과 같은 일시적 요인들까지 겹치면서 내수와 수출 모두 하방 압력이 증대됐다"고 평가했다.
이 총재는 "향후 무역협상 진행으로 국가별 최종 관세는 어떻게 진행되는지 추경이 언제 어떤 규모로 진행될지, 경제 심리가 얼마나 빨리 회복될지 불확실성이 너무 커서 올해 성장률을 아직 예단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