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7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며 개회 선언을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7일 "12조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추경)안은 경제성장률을 0.1%포인트 올리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한은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연 2.75%로 동결한 뒤 기자간담회를 열어 "지난 2월 우리가 제시했던 추경 규모보다는 반으로 줄었기 때문에 효과도 절반 수준인 0.1%포인트 정도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이 총재는 지난 2월 추경을 15조~20조원 정도로 하면 성장률을 0.2%포인트 올리는 효과가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 총재는 한은이 정부지출승수를 0.4~0.5 정도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정부 지출을 1원 늘리면 국내총생산(GDP)이 0.4~0.5원 늘어나는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의미다.
이 총재는 "추경 편성 시기는 지난 2월에도 시차를 고려해 2분기를 넘어가는 것으로 가정했으므로 예상했던 시기와 차이는 별로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추경은 그 양도 중요하고 그 안에 있는 내용, 즉 어디에 쓰는지가 중요하다"며 "어떤 지출이냐에 따라 추경 효과도 달라지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추경안이 발표되면 분석해서 5월 수정경제전망에서 알리겠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이날 한은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연 2.75%로 동결한 뒤 기자간담회를 열어 "지난 2월 우리가 제시했던 추경 규모보다는 반으로 줄었기 때문에 효과도 절반 수준인 0.1%포인트 정도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이 총재는 지난 2월 추경을 15조~20조원 정도로 하면 성장률을 0.2%포인트 올리는 효과가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 총재는 한은이 정부지출승수를 0.4~0.5 정도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정부 지출을 1원 늘리면 국내총생산(GDP)이 0.4~0.5원 늘어나는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의미다.
이 총재는 "추경 편성 시기는 지난 2월에도 시차를 고려해 2분기를 넘어가는 것으로 가정했으므로 예상했던 시기와 차이는 별로 없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