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스톱 수출·수주지원단, 관세대응 지원본부로 개편

김범석 기획재정부 차관이 1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2025년 4월 일자리 전담반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기획재정부 제공
김범석 기획재정부 차관이 1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2025년 4월 일자리 전담반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기획재정부 제공]

정부가 수출·수주 관련 지원을 위해 운영한 ‘원스톱 수출·수주지원단’의 기능과 조직을 강화해 '원스톱 관세대응 지원본부'로 개편한다. 수출유관기관이 개별적으로 운영하는 관세 대응업무를 통합 관리해 글로벌 관세전쟁에 총력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17일 제2차 통상현안 관련 범정부 국내대응 TF를 열고 미국의 관세부과에 따른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각 기관은 상호관세 90일 유예에도 아직 품목별 관세율, 관세부과 시기 등에 대한 불확실성이 있는 등 글로벌 관세전쟁 동향이 수시로 변하고 있어 안심할 수 없는 엄중한 상황이라고 판단했다. 

이날 TF에서는 미 관세가 전반적 수출 및 철강·자동차·반도체 등 주요 업종별로 미치는 영향을 점검·논의하고 향후 변화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기로 했다. 

원스톱 관세대응 지원본부 개편과 관련해서는 본부 내에 산업·중기, ICT·바이오, 금융·공급망, 농수산 등 4개 팀을 운영해 KOTRA 등 수출유관기관 및 민간 협·단체와의 협업 체계를 구축한다. 이를 통해 현장애로 처리 상황을 상시 모니터링하고 해결이 지연되거나 제도개선이 필요한 사안은 ‘범정부 국내대응 TF’의 각 작업반과 유기적으로 협력한다는 방침이다.

이밖에 TF 논의 결과를 신설된 경제안보장관회의를 포함한 장관급 회의체와 연계해 관세전쟁에 신속히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