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관세협상국들에 '2차 관세' 압박…中 우회 차단 목적"

  • 블룸버그 "중국이 경제 관행을 바꾸도록 하는 압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UPI·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UPI·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관세 협상에 나설 무역 상대국들에 중국과의 무역을 억제할 것을 압박하고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16일(현지시간) 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70여개국은 트럼프발(發) 관세를 놓고 협상을 앞둔 가운데 트럼프 행정부가 그 대가로 중국의 제조 역량을 제한하는 조치를 요구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중국이 트럼프 관세를 우회할 방법을 찾지 못하게 확실히 하려는 조치로 풀이된다.
 
이 사안에 정통한 한 소식통은 트럼프 대통령의 고위급 고문들이 상대국 관세 협상 대표들에게 이른바 ‘2차 관세’, 즉 중국과 긴밀한 관계에 있는 특정 국가들에서 수입되는 상품들에 대해 금전적 제재를 요청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은 또한 무역 상대국들이 과도한 중국산 상품 수입을 자제하기를 원한다고 다른 소식통들은 전했다. 멕시코 정부 당국자들은 협상에서 미국이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 인상을 요구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블룸버그는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이 전략은 오랜 파트너들을 압박해 중국을 고립하고, 중국이 경제 관행을 바꾸도록 압박을 가하는 트럼프의 노력”이라며 “이 전략이 결실을 거둘지는 불확실하다”고 내다봤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14일 폭스뉴스와 인터뷰에서 남미 국가들이 중국의 일대일로(중국이 추진 중인 실크로드 전략)와 미국 투자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강요할 것이냐는 질문에 “아마도 그들은 그렇게 해야 할 것”이라고 답한 바 있다.
 
블룸버그는 이 전략의 핵심 인물 중 한 명으로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을 지목했다. 그는 ‘상호관세 90일 유예’ 이후 트럼프 행정부 관세 정책의 주도적 역할을 하고 있는 가운데 “전통적인 미국의 파트너들은 좋은 군사 동맹이었지만 완벽한 경제 동맹은 아니었다”며 “우리는 집단으로서 중국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