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허제 실책' 서울시, 부동산조직 확대 개편…'정책개발센터' 내달 출범

 
19일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 정부합동 브리핑에서 오세훈 서울시장이 발언에 나서고 있다 사진서울시
지난달 19일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 정부합동 브리핑에서 오세훈 서울시장이 발언에 나서고 있다. [사진=서울시]

35일 만에 토지거래허가구역을 확대 재지정하면서 비판을 받은 서울시가 부동산 정책 관련 조직 개편에 나선다. 기존 조직을 확대 개편해 '부동산정책개발센터'를 신설하고, 시장 동향 분석 등 정책 전문성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18일 서울시에 따르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서울시 행정기구 설치 조례 시행규칙 일부개정안'을 전날 입법 예고했다.

개정안에 따라 주택실 산하 주택정책지원센터가 부동산정책개발센터로 확대 개편된다.

부동산정책개발센터는 부동산 시장 안정대책 연구, 부동산 시장 관련 정책 수립 시 부동산 시장 영향 분석, 부동산 금융·세제 종합분석 및 선진화 제도 개발 등의 업무를 전담한다.

기존에 도시공간본부 토지관리과에서 맡았던 부동산 시장 동향 분석, 거래 상황조사, 부동산 동향 작성 관련 사무는 부동산정책개발센터로 이관한다.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해제 등 입안 및 운영' 관련 업무 역시 토지관리과에서 주택실 주택정책과로 넘어간다. 토지관리과는 '토지거래허가구역 사후 이용 실태 조사·관리' 관련 업무를 담당한다.

시는 이번 시행규칙 개정에 대해 "부동산 정책 수립 전 단계에서의 검증 체계를 강화하고, 보다 체계적인 정책 추진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개정 시행규칙은 입법예고 후속 절차를 거쳐 5월 중 시행 예정이다.

시는 "주택사업을 담당하는 인력들이 대부분 주택 '공급'에 초점을 맞춰 시장 반응 등 '수요' 측면을 면밀하게 살피는 데 다소 부족한 면이 있었다"며 전담조직 확대 개편과 함께 주택시장 전문가를 합류시키겠다고 했다.

앞서 시는 지난 2월 토지거래허가구역을 해제한 뒤 집값이 급등하자 한 달 만에 다시 지정 범위를 확대해 논란이 일었다. 이에 부동산 정책 전담 조직을 신설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 시는 "주택 공급을 중심으로 하고 있는 기존 인력 구성으로는 시장 반응 등 수요 측면을 정밀하게 분석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며 "전담 조직 확대 개편과 함께 주택시장 전문가를 보강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