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 3월 한국의 대미 철강 수출액은 10억4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7% 감소했다. 3월 수출 중량도 71만t으로 15.5% 줄었다.
같은 기간 알루미늄 수출량 역시 9만6844t으로 지난해 3월보다 약 4.7% 감소했다.
이 같은 철강과 알루미늄 수출 감소는 미국발 관세 폭탄 여파로 풀이된다. 트럼프 행정부는 앞서 지난달 12일부터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를 대상으로 철강·알루미늄 25%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이는 직접적인 대미수출 차질뿐 아니라 글로벌 철강 공급과잉을 심화하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미국의 통상 정책이 본격적인 보호주의로 선회하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수출 환경은 더 악화할 수 있다는 우려는 여전하다. 또 트럼프 대통령의 오락가락 관세 정책도 불확실성을 증폭시키고 있다.
이에 정부는 관세 전쟁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미국과의 협상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한·미 경제·통상 장관 간의 2+2 회담을 조율 중이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르면 다음주 미국을 방문할 계획이다. 정부 관계자는 "방미 일정이 최종 확정되는 대로 공식 발표할 예정"이라며 "양국 경제·통상 장관이 한자리에 모이는 2+2 회담을 가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