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 수원시정연구원(원장 김성진) 수원학연구센터가 수원비행장 80년 역사를 집대성한 단행본 '수원비행장, 공간의 균열과 그 사이의 삶'을 18일 발간했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인 1944년부터 현재까지 수원비행장의 건설과 변천, 그리고 비행장으로 인해 영향을 받아온 수원시민의 삶을 종합적으로 조명한 첫 연구서다.
수원비행장은 1944년 일제에 의해 건설된 이후 한국전쟁기를 거치며 일본군 미군 한국군 북한군 중국군 등이 번갈아 점령하며 극심한 변화를 겪었다. 점령 주체만 10년 동안 9번이 바뀌는 등 한반도 근현대사의 격동을 그대로 담아낸 공간이다. 현재는 공군 제10전투비행단이 주둔하고 있다.

이번 연구서는 한국·미국·일본 등에 흩어져 있던 희귀자료와 미공개 사진 등 500여 컷 집대성해 전 역사와 변화를 시각적으로 풀어냈다.
책은 총 4부로 구성됐다. 1부는 한국전쟁부터 2000년대 이후까지 수원비행장과 제10전투비행단의 변화를 자료로 보여주며 당시의 모습을 전달한다.
2부에서는 △일제강점기 비행장 건설부터 미군정기 관리 △정부 수립기 공군 창설 △한국전쟁기 미군 전략기지로서의 역할 △전쟁 이후 공군 제10전투비행단 주둔까지 변천을 시기별로 정리함으로써 한국 근현대사 속에서 차지하는 위상과 역할을 살펴보았다.
3부에서는 한국전쟁기에 주둔한 미 제8전투폭격비행단 공군 조종사들의 개인 회고록과 전투 작전 기록, 비행장 생활 사진 등을 통해 전쟁과 일상의 공존을 보여주고 있다.

4부에서는 비행장 건설로 삶의 터전을 잃고 고향을 떠날 수밖에 없었던 주민들의 이주 과정, 새로운 마을인 고색동 새터 형성과정, 수원 지역사회가 겪은 피해와 비행장 소음 문제 등을 다뤘다. 또한 최근 현안인 수원 군공항 이전사업을 둘러싼 갈등과 해결 방안까지도 담아 지역사회와 비행장 사이의 상생과 미래를 고민했다.
홍현영 연구원은 "수원비행장을 단순한 군사시설이 아니라 한국 현대사와 지역사, 시민들의 삶이 교차하는 공간으로 조명하고자 했다"며 "공간의 균열 속에서도 삶을 이어온 사람들의 목소리를 담는 데 중점을 뒀다"고 강조했다.
김성진 원장은 "이번 발간한 단행본은 전국 주요 도서관과 관련 연구기관에 배포할 예정"이라며, "원비행장의 다양한 모습이 시민과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