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관세에 '환율 방패' 꺼낸 중국…"亞 외환시장 불안 확산 가능성"  

  • 中기준환율 6일 연속 상향…통화정책 완화 기조도 예고

  • "위안화 약세 장기화 땐 아시아 통화 전반 불안 전이"

사진챗GPT가 생성한 이미지
[사진=챗GPT]
미국과 중국 간 무역 갈등이 격해지는 가운데 중국 위안화가 약세를 지속하고 있다. 중국이 위안화 환율을 미국 관세정책에 대한 '맞대응 수단'으로 활용하면서, 향후 중국 인민은행의 통화정책 운용 방향이 글로벌 외환시장에 어떤 파장을 일으킬지 주목된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4월 들어 역내 위안화는 달러당 7.35위안(4월 10일 장중 7.3511위안)을 돌파해 2007년 이후 최고치를, 역외 위안화는 7.40위안(4월 8일 장중 7.4290위안)을 상회하면서 장기 고점을 경신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이 환율을 인위적으로 조작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지만, 중국 정부는 위안화 약세에 대해 공식적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다만 기준환율 상향 고시와 국영은행을 통한 창구지도를 병행하며 완만한 위안화 약세를 사실상 용인하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

중국외환거래센터(CFETS)는 달러 대비 위안화 기준환율을 4월 2일 7.1775위안에서 10일 7.2092위안 등으로 고시하는 등 이달 들어 6일 연속 상향 조정했다. 이상원 국금센터 외환분석부장은 "이 기간 달러인덱스가 3.3% 하락한 점을 감안하면, 인민은행의 위안화 약세 의도가 뚜렷하다"고 평가했다.

또 인민은행은 국영은행을 통해 과도한 달러 매수 쏠림을 막는 방식으로 환율 변동성을 조절하고 있다. 통화정책 방향과 관련해서도 2분기 지급준비율 인하 및 정책금리 인하 등을 시사하며 완화 기조 전환을 예고하고 있다.

이 부장은 "중국 정부의 위안화 약세 용인이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전후로 가시화된 점을 고려할 때 위안화 환율의 진행 방향을 통해서도 강경 대응 의지를 시사하고 있다"며 "대내적으로는 경기부양을 위해 점진적 금융 여건 완화를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국금센터는 중국의 위안화 약세가 단기 국면에 그치지 않을 경우, 위안화와 연동된 신흥국 및 아시아 통화 전반으로 불안이 전이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중국의 공급망 의존도가 높은 국가일수록 환율 충격이 클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 부장은 "위안화 약세가 장기화되면 중국이 자본 유출 우려와 정책 딜레마에 직면할 수 있다"며 "미·중 무역갈등이 심화되면 중국 공급망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국가들에 대한 경제적 충격이 커지면서 중국 주변 아시아 국가들을 중심으로 외환시장 불안이 확대될 수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