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제는 CCTV와 대화를 나누는 시대가 됐다. 과거 CCTV가 단순히 녹화된 영상을 확인하는 용도에 그쳤다면 인공지능(AI)이 도입된 지능형 CCTV가 위급상황 발생 시 적합한 대응 방법을 알려주는 역할까지 수행하게 됐다.
에스원은 이같은 기능을 담은 지능형 CCTV용 'AI 에이전트'를 출시했다고 20일 밝혔다. 사용자와 AI 에이전트와의 주고받는 대화를 통해 영상조회, 캡처 등 다양한 기능을 컨트롤할 수 있는 기능까지 담았다.
이를 통해 기존 CCTV의 한계로 지적되었던 운영과 관리의 문제, 즉 CCTV 관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됐다고 에스원 측은 밝혔다.
에스원의 'AI에이전트'는 △위급상황 발생 시 SOP(표준 운영 절차) 안내 △대화형 영상 검색 서비스 △대화형 CCTV 제어 서비스 등 기능을 제공한다.
CCTV용 AI 에이전트는 CCTV가 위험상황을 스스로 감지하는 것은 물론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신속하게 제공하는 것이 대표적인 기능이다. 예를 들어, 창고 내 사고 발생 시 화면에"창고에서 남성이 쓰러졌습니다"라는 알림이 자동으로 표시된다.
이후 AI가 상황별 SOP(표준 운영 절차)를 제공해 신속한 대응도 돕는다. 예컨대 사고 발생 시에는 △사고 발생 구역 파악△안내 방송 실시 △119에 긴급 연락 등 구체적인 행동 지침을 화면을 통해 안내해준다.
또 대화형 CCTV 영상 검색 서비스도 제공한다. 이 서비스의 가장 큰 특징은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음성으로 요청하면 해당 영상을 설명과 함께 자동으로 찾아준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오전 10시~11시 사이에 흡연한 사람 찾아줘"와 같이 음성으로 지시하면 시간, 행동 등 키워드를 분석해 관련 영상을 빠르게 제공한다.
음성 명령만으로 CCTV 주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대화형 제어 서비스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현관 카메라 화면 캡처해서 저장하고, 지하실 입구 카메라 5분 전 영상 보여줘"등 직관적인 명령만으로 영상 재생·이동·저장 등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에스원 관계자는 "각종 사건·사고와 재해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이를 예방하기 위해 CCTV 보급이 우리 사회 곳곳에 확대되고 있어 이러한 안전 인프라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활용하느냐가 중요한 과제"라며 "에스원은 자체 R&D센터를 통해 실효성 있는 보안 솔루션을 지속 개발해 사회 전반에 보급해 나가는데 앞장서 보안업계 1위 기업으로서의 책임과 소임을 다해 나아 갈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