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실세'로 불리며 트럼프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꼽혔던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백악관 내 권력 투쟁에서 밀려났다는 징후가 잇따르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 등 미 언론이 전했다.
19일(현지시간) NYT와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전날 마이클 포켄더 재무부 부장관을 국세청장 직무대행으로 임명했다. 지난 15일 머스크 CEO가 국세청장 직무대행으로 임명했던 게리 섀플리가 불과 사흘 만에 교체된 것이다.
NYT는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재무부 산하 기관에 대한 머스크 CEO의 인사 개입에 불만을 품은 베센트 장관이 트럼프 대통령을 설득해 머스크의 인선을 뒤집은 것이라고 전했다.
머스크는 베센트 장관에 대한 공격을 온라인상에서 이어가고 있다. 머스크는 지난 17일 극우 인사로 알려진 로라 루머가 베센트를 비난한 글에 "문제가 된다(Troubling)"고 댓글을 달며 동조했다. 루머는 베센트 장관이 트럼프를 반대해온 금융계 인사들과 협력하고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을 위험에 빠뜨렸다"고 주장했다.
NYT는 이를 두고 "머스크는 지난 몇 주간 백악관 내에서 잇달아 좌절을 겪었다"고 짚었다. 머스크가 이끄는 정부효율부(DOGE)의 연방기관 예산 삭감 작업은 일부 부처의 비협조로 난항을 겪고 있으며, 이달 초 위스콘신주 대법관 선거에서도 머스크가 후원한 보수 후보가 패배해 책임론이 불거졌다.
또한 그가 지난달 21일에 국방부를 방문해 중국과의 전쟁 발발 시 작전계획에 대한 보고를 받으려고 시도했다가 트럼프 대통령의 지시로 직전에 취소됐다는 언론 보도가 최근 나오기도 했다. 그는 관세 정책을 두고 피터 나바로 백악관 고문과 충돌하며 트럼프 측근 간 갈등설에도 휘말렸다.
NYT는 "트럼프 행정부 초반에 머스크의 영향력은 한계가 없어 보였지만, 근래 벌어진 일련의 사건들은 머스크의 백악관 내 영향력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머스크 CEO는 최근 언론 인터뷰를 자제하고 있으며 자신이 소유한 엑스에서도 활동이 뜸해졌다. NYT에 따르면 지난달만 해도 머스크 CEO가 X에 하루 평균 107건의 게시물을 올렸으나, 이달 들어서는 전날까지 하루 평균 55건의 게시물을 올렸으며 100회 이상 게시물을 올린 날이 하루도 없었다.
NYT는 "평소 주연급 에너지가 넘치던 억만장자(머스크)의 모습을 요즘은 좀처럼 보기 어렵다"고 평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