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대 3개교, 공동 교육모델 구축...'글로컬대학30' 추진 박차

  • 경남정보대·동의과학대·영진전문대, 공동 교육모델 구축·지역문제 대응 협력

부산·대구 지역의 경남정보대 동의과학대 영진전문대는 지난 18일 지역 위기 대응을 위한 ‘글로컬대학30 프로젝트’ 공동 추진 협약을 체결했다사진경남정보대
부산·대구 지역의 경남정보대, 동의과학대, 영진전문대는 지난 18일 지역 위기 대응을 위한 ‘글로컬대학30 프로젝트’ 공동 추진 협약을 체결했다.[사진=경남정보대]

경남정보대학교, 동의과학대학교, 영진전문대학교 등 부산·대구 대표 전문대학 3곳이 ‘글로컬대학30 프로젝트’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3개 대학은 지난 18일, 경남정보대학교 대회의실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지역사회 위기 대응과 전문대학의 미래 전략 마련을 위한 공동 연합체계 구축에 나서기로 했다. 이 자리에는 각 대학 총장과 주요 보직자 등 20여 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협약을 통해 △부산·대구 중소기업 중심 산업구조 △청년 인구 유출 △고령화 △제조업 인력난 등 지역이 직면한 구조적 문제에 공동 대응하기 위한 연합체계를 구성하고, 공동 교육모델과 정책 실행을 위한 협력체계를 마련키로 했다.

협약에 따라 세 대학은 ‘글로컬대학30 프로젝트’ 선정과 실행을 목표로 공동 전략을 추진하고, 각 대학의 특성과 강점을 살린 교육·연구 협력 모델을 개발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지역 발전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시민대학 모델을 함께 구현해 나가겠다는 구상이다.

특히, ‘한국형 커뮤니티 칼리지’ 구축을 목표로 전문대학의 기능과 역할을 시대 변화에 맞게 재정립하고, 고등직업교육의 미래 방향을 제시하는 선도모델을 만들겠다는 점에서 의미를 더한다.

실무 중심의 융합교육, 지역 특화 산업 연계, 시민참여형 교육과정 등 다양한 교육혁신 모델이 논의되고 있다.

이날 협약식에는 부산시와 대구시 관계자들도 함께 참석해 행정적·제도적 지원을 약속했다. 두 도시는 글로컬대학 프로젝트가 지역 대학과의 동반성장을 유도하고, 청년 유출 방지 및 지역 균형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협약을 체결한 3개 대학 총장들은 “부산과 대구를 대표하는 전문대학이 협력해 지역을 살리고, 글로벌 도시로 도약하는 데 기여하는 교육 플랫폼을 만들겠다”며 “한국형 커뮤니티 칼리지 모델을 통해 전문대학의 새로운 역할을 정립하고, 시민과 지역사회에 실질적 가치를 제공하는 대학으로 거듭나겠다”고 말했다.

‘글로컬대학30 프로젝트’는 교육부가 주관하는 대학 혁신 정책으로, 지역과 세계를 연결하는 대학으로의 전환을 목표로 한다. 선정된 대학은 고등직업교육 혁신, 지역인재 양성, 산학협력 강화 등을 핵심 과제로 추진하게 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