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 D 밴스 미국 부통령이 21일(현지시간) 인도 수도 뉴델리에 도착해 24일까지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의 양자 회담을 포함한 일정에 나선다. 이번 방문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한 조치 이후 양국 간 첫 고위급 회담으로, 상호관세 등이 주요 현안이 될 예정이다.
블룸버그통신 등 외신은 인도 정부 관계자가 “이번 주에 부문별 무역 협상이 진행될 것”이라며 “5월 말까지 협상을 마무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전했다. 블룸버그는 밴스 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과는 다른 다소 온건한 외교 전략도 펼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하면서, 인도에는 26%의 상호관세를 부과했다. AP통신에 따르면 미국은 인도의 가장 큰 무역 상대국으로 양국 간 무역 규모는 1900억 달러(약 270조원)에 달한다. 따라서 인도는 미국과 무역 협정을 조속히 타결해 고율 관세 부담을 피하는 것이 절실한 상황으로, 이번 회담은 인도에 있어서도 중요한 회담이 될 전망이다.
블룸버그는 “인도는 세계 무대에서 영향력을 확보하기 위해 신흥 경제국들로 이뤄진 글로벌 사우스의 리더로서 자국의 입지를 강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짚었다.
미국 역시 우선적으로 협상을 진행할 국가 중 하나로 인도를 지목하고 나섰다. 양국은 무역, 외국인 직접 투자, 국방 협력 분야에서 긴밀한 파트너이자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의 영향력 확대를 견제하기 위한 전략적 동맹국이다.
앞서 지난 2월 트럼프 대통령과 모디 총리의 정상회담 이후 인도는 477억 달러(약 67조7000억원) 규모의 대미 무역흑자를 줄이기 위해 켄터키 버번 위스키와 할리 데이비슨 오토바이 등 상당량의 미국 제품에 대한 관세를 인하했으며 원유, 액화천연가스(LNG), 첨단무기 등 전략 품목의 수입을 확대하기로 합의했다.
또한 모디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의 불법 이민자 추방 노력을 지지하면서 최근 몇 달 동안 미국에서 인도 국적자들을 자국으로 송환하는 항공편을 마련하기도 했다.
카네기국제평화재단 남아시아 프로그램 책임자인 밀란 바이슈나브 연구원은 “(인도가) 트럼프 행정부와 합의를 이뤄야 한다”며 “합의가 이뤄져야 비로소 양국 관계의 나머지 부분과 그에 수반되는 모든 것들이 풀릴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모디 총리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로부터 투자 유치를 바라고 있고, 머스크는 지난주 모디 총리와 통화한 후 올해 말에 인도를 방문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두고 테슬라의 인도 진출을 잠재적으로 시사한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니르말라 시타라만 인도 재무장관도 오는 21일부터 26일까지 워싱턴에서 열리는 국제통화기금(IMF) 회의에 참석할 예정이며, 미국 정부 고위 관계자들과 무역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