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영향권 진입...4월 대미 수출 14% 줄었다

산항 신선대부두에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작업이 진행 중인 모습사진연합뉴스
산항 신선대부두에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작업이 진행 중인 모습.[사진=연합뉴스]
이달 중순까지 우리나라의 대 미국 수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두자릿수 감소했다. 트럼프 미 행정부발 관세전쟁의 영향이 본격화된 탓이다. 한국산 중간재를 수입해 미국 등에 완제품으로 수출하는 중국, 베트남도 관세 전쟁 영향권에 들면서 우리 경제 핵심 축을 담당하고 있는 수출이 하강 국면에 진입한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21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20일 우리나라의 대미 수출액은 61억82000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4.3% 줄었다. 올 들어 매월 1~20일 대미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조업일수가 하루 적었던 1월(-9.6%)을 제외하고 2~3월 모두 증가세를 유지했다. 

관세청은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무분별한 관세 부과 영향으로 수출이 위축됐다고 설명했다. 이달 초 미국은 우리나라에 상호관세율 25% 적용하겠다고 발표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국가별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면서 현재 일부 품목에 기본 관세 10%가 적용된 상태다.

수출 비중 20%를 차지하고 있는 대미 수출이 급감하면서 전체 수출도 감소세를 나타냈다. 이달 1~20일 전체 수출액은 338억7000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5.2% 감소했다. 통상 월말로 갈수록 수출이 늘어나긴 하지만 미국발 관세조치 영향으로 반등할지 여부는 미지수다. 

품목별로도 대미 수출 물량이 많은 자동차에 타격이 컸다. 이달 20일까지 승용차 수출은 36억6800만 달러에 그치며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6.5% 감소했다. 지난달 12일부터 25%의 관세 부과가 시작된 철강 역시 24억15000만 달러로 8.7% 줄었다. 

주요 10개 수출품목 중 반도체만 유일하게 10.7% 증가했고 석유제품(-22.0%). 컴퓨터 주변기기(23.3%) 등 나머지 9개 품목은 모두 감소했다.

미국발 관세조치는 우리나라의 주요 중간재 수출국인 중국과 베트남으로의 수출에도 악영향을 미쳤다. 이달 1~20일 대중 수출은 3.4% 감소한 66억2200만 달러에 그쳤다. 베트남으로의 수출도 0.2% 감소한 30억56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미국으로부터 145%의 관세율이 부과된 중국에 이어 베트남에 예고된 46%의 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이들 국가의 대미 수출이 줄면서 우리나라의 중간재 수출에 타격이 불가피하다.

더욱이 이는 미국과 협상을 앞두고 있는 우리 정부가 관세율 인하에 성공하더라도 미국이 중국 등에 높은 관세율을 유지할 경우 우리나라의 수출길이 좁아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수출이 줄면서 우리나라의 무역 흑자 기조도 흔들리고 있다. 이달 1∼20일 수입액은 340억 달러로 1년 전보다 11.8%로 줄었지만 수입액이 수출액을 웃돌면서 1억 달러의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했다. 우리나라 무역수지는 2023년 6월부터 19개월 연속 흑자를 유지하다 올 1월 일시적으로 적자로 전환된 바 있으나 2월부터 다시 흑자 기조를 이어가는 중이다. 

김태황 명지대 국제통상학과 교수는 "우리보다 무역 의존도가 높은 벨기에, 네덜란드 등의 경우 유럽이라는 공동 시장이 완충제 역할을 하고 있지만 한국은 이번 관세 조치로 미국과의 FTA가 완전히 무력화되면서 큰 그림에서의 통상 전략을 재점검해야 할 때"라면서 "산업 정책 측면에서 정부가 핵심 부품, 소재, 장비 등에 과감하게 인센티브를 제공해서 발전시켜야 한다"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