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정부가 내달 1일(현지시간) 미국과의 2차 관세 협상을 앞둔 가운데 미·일 장관급 협의를 위해 쌀 수입 확대를 포함한 비관세 장벽 개선안을 준비 중이라는 보도가 일본 언론을 통해 나오고 있다.
마이니치신문 등 일본 언론들은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2차 협상에 앞서 일본 측이 마련하는 대책안에 이같은 내용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미·일 양국은 지난 16일(현지 시간) 열린 첫 관세 협상에 가진데 이어 오는 5월 1일 2차 협상을 이어가기로 했다.
이시바 시게루 총리는 첫 협상 후 미국 측 요구를 반영한 대책안 검토를 지시한 가운데 일본 정부는 2차 협상을 앞두고 대책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앞서 미국 측은 첫 협상에서 차 안전기준과 쌀 수입 등에 대해 불만을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20일에도 자신이 소유한 소셜미디어(SNS)인 트루스소셜에 부가가치세, 농산물 수입규제 등 8가지를 ‘비관세 부정행위’(Non-Tariff Cheating)라고 주장하며 관세 협상국들을 압박했다.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은 지난주 “어쨌든 무엇이 일본의 국익에 합치하는지, 여러 선택지 안에서 무엇이 가장 효과적인지를 생각하면서 대응해가겠다”며 쌀 수입 확대 가능성에 대해 명확히 부인하지는 않았다.
이와 관련해 닛케이는 오는 7월 20일 치러질 가능성이 큰 참의원 선거가 관세 협상에 변수가 될 가능성이 있는 가운데 이시바 정부로서는 선거 이후에 협상 타결을 이루는 것이 오히려 득이 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90일간의 상호 관세 유예 기한을 적용하면 협상 기한은 7월 9일이 되는데, 직후 참의원 선거가 있어 협상 결과가 선거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닛케이는 “조기 타결을 목표로 한다면 참의원 선거 전 합의하는 것이 하나의 목표가 된다. 상호 관세 추가분의 발동을 저지하거나 영향을 최소화하면 이시바 총리로서는 선거의 호재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반면 “일본이 합의를 서두르는 자세를 보이면 교섭이 미국의 페이스가 될 수 있다”면서 “만일 참의원 선거 전에 추가 관세를 막더라도 트럼프 정권이 불만을 보인 농산물과 자동차, 안전보장 분야에서 일본이 양보하는 경우 이시바 정권에 대한 실망이 커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