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연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경선 후보가 수도권, 강원, 제주 지역 공약과 청년 비정규직 보호 대책을 발표하며 국가 균형발전과 미래세대 보호에 대한 강한 의지를 밝혔다.
김동연 후보는 22일 '더 유쾌한 다방' 행사에서 수도권 공통 공약을 설명하며 “수도권 교통망 혁신과 행정수도 이전,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를 통해 수도권과 지역 간 균형발전을 이뤄내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발표된 주요 공약으로는 △대통령실과 국회의 세종 이전 및 서울 국회의사당 부지에 ‘한국판 센트럴파크’ 조성 △해양수산부 인천 이전을 통한 해양특화도시 구축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 △수도권 1시간대 출근망 완성 △강원 평화특별자치도 실현 △제주 관광청 신설 등이 포함됐다.
김 후보는 “GTX-A·B·C 노선의 조기 완공과 D·E·F 노선의 차질 없는 추진, G·H 노선 신설을 통해 수도권 교통망을 전면 개편하고, 경기남부광역철도 신설로 용인·수원·화성 등 경기 남부 주요 거점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겠다”고 설명했다.
김 후보는 강원도의 경우 철원 평화산업단지 조성, 금강산 관광 재개, 남북 교류 협력 확대 등을 통해 ‘강원 평화특별자치도’를 실현하고, 제주에는 관광청 신설과 환경보존기여금 제도를 도입해 지속가능한 관광 산업 육성을 추진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김 후보는 이 자리에서 청년 비정규직 노동자를 위한 ‘노동시간 저축계좌제’ 도입 방안도 별도로 발표했다. 이 제도는 비정규직 형태로 7년간 근무한 청년에게 6개월간 유급 안식년을 보장하는 것으로, 경력 개발과 재충전 기회를 제도적으로 지원해 청년층의 고용 불안을 해소하겠다는 구상이다.
김 후보는 “현재 20대 임금 노동자의 43.1%가 비정규직으로 집계되고 있으며, 한 번 비정규직으로 진입하면 평생 해당 고용 형태를 벗어나기 어려운 현실”이라며 “청년들에게 실질적인 기회를 제공하고, 장기적인 경력 설계를 가능케 하는 제도를 반드시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재원 조달은 사용자, 정규직, 정부가 함께 부담하는 3자 분담 방식을 통해 마련하고, 고용보험 실업급여와의 중복 수급은 제한하는 방식으로 제도적 정합성을 유지할 방침이다. 이번 공약과 정책 발표는 김동연 후보가 지속적으로 강조해 온 ‘경제대통령’ 비전의 일환으로, 수도권 균형발전과 청년 노동환경 개선을 통해 국가 경쟁력을 높이고 사회적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겠다는 의지가 담겼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