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밀리의서재, 구독 넘어 콘텐츠·공간 전방위 확장 나선다

  • 전자책 구독에서 웹소설ㆍ웹툰으로 포트폴리오 확대

  • 복합문화공간 '밀리 스페이스' 확대, 2027년 매출 1500억원 목표

박현진 kt 밀리의서재 대표가 23일 여의도 글래드 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2025 사업 로드맵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피알브릿지 제공
박현진 kt 밀리의서재 대표가 23일 여의도 글래드 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2025 사업 로드맵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피알브릿지 제공



KT 밀리의서재가 올해를 ‘독서 종합 플랫폼’으로 도약하는 전환점으로 삼는다. 웹소설·웹툰을 감상할 수 있는 ‘밀리 스토리’ 서비스를 출시하고, 독서 친화형 오프라인 공간 ‘밀리 플레이스’를 선보이는 등 콘텐츠와 접점 확대를 통해 지난해 매출의 2배 성장을 목표로 내세웠다.

박현진 밀리의서재 대표는 23일 서울 여의도 글래드 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사업 로드맵을 발표했다.

로드맵에 따르면, 밀리의서재는 기존 전자책 구독 서비스를 넘어 웹소설, 웹툰 등 스토리 콘텐츠 영역으로 포트폴리오를 확대한다. 독서 콘텐츠의 경계를 허물고 하나의 구독 모델 안에서 다양한 장르를 함께 소비할 수 있는 구조를 통해 구독 유연성을 극대화하고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특히 음악이나 영상처럼 독서도 ‘취향 기반 콘텐츠’로 소비되는 흐름에 맞춰, 이용자의 취향에 최적화된 콘텐츠를 반복적으로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예정이다.

‘밀리 스토리’는 6월 웹소설, 9월 웹툰 콘텐츠를 순차적으로 공개하며 라인업을 확대한다. 국내 주요 장르 출판사와의 전략적 협업을 통해 웹소설·웹툰 분야의 베스트셀러와 비독점 콘텐츠를 적극 확보해, 연내 서비스 콘텐츠 1만 권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다.

스토리 지식재산(IP) 확장도 가속화한다. 인기 판타지 작품 ‘전지적 독자 시점’의 오디오북 제작, 로맨스물 ‘궁노’의 웹툰화 등 콘텐츠 2차 활용을 추진해 IP 선순환 구조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오프라인 영역에서도 사업을 넓힌다. 독서 친화형 공간 ‘밀리 플레이스’는 카페, 미술관, 복합문화공간 등 일상 속 공간과 책을 연결한 복합 문화공간으로 기획됐다. 지난 4월부터 정식 운영을 시작해 현재 전국 40개 거점에서 고객 혜택을 제공 중이며, 연내 100개 지점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향후 작가 북토크, 팬미팅, 독서 모임 등 독서 기반 커뮤니티도 활성화할 예정이다.

밀리의서재는 콘텐츠 수급 강화, 우수 인력 영입, IT 인프라 고도화를 중심으로 향후 3년간 매년 200억 원 규모의 전략적 투자를 이어간다. 이를 통해 콘텐츠 경쟁력을 제고하고, 2027년까지 매출 1500억 원 달성이라는 도전적인 목표를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박 대표는 “밀리의서재는 일반 도서 구독 서비스에서 출발해 웹소설, 웹툰 등 장르 콘텐츠로 독서의 외연을 확장하고 있다”며 “2025년은 시대 흐름에 맞춘 서비스 확장과 사용자 접점 강화로 콘텐츠 소비 확대와 실사용자 증대 등 가시적 성과를 이뤄내는 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