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한인 20대, '부정행위 AI'로 빅테크 면접통과…스타트업 설립해 75억원 유치

  • 클루엘리, 보이지 않는 창 통해 실시간 정보 제공

클루엘리 영상 속 한 장면 사진로이 리 엑스 갈무리
클루엘리 영상 속 한 장면 [사진=로이 리 엑스 갈무리]
미국의 한 20대 한인 청년이 자신이 개발한 인공지능(AI) 도구를 활용해 빅테크 기업 인턴십 면접을 통과하고 이를 바탕으로 AI 스타트업을 창업한 사실이 알려져 화제를 모으고 있다.
 
22일(현지시간) 정보기술(IT) 전문 매체 테크크런치 등에 따르면 21세의 한인 로이 리(한국명 이정인)와 닐 샨무감이 공동 창업한 AI 스타트업 '클루엘리(Cluely)'는 최근 530만 달러(약 75억원)의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
 
클루엘리는 시험과 면접, 영업 등 여러 상황에서 상대방을 속일 수 있는 AI 서비스를 제공한다. 브라우저 내 보이지 않는 창을 통해 질문에 대한 실시간 답변이나 요약 정보를 알려주는 방식이다.

다만, 이 창은 상대방에게는 보이지 않아 면접관이나 시험 감독관의 눈에 띄지 않고 AI 부정행위를 할 수 있다. 이 씨는 "화면을 보고 오디오를 들으며 어떤 상황에서도 실시간으로 도움을 주는 완전히 탐지 불가능한 AI"라고 소개했다.
 
실제로 크루엘리 공동 창업자 이씨는 크루엘리의 초기 버전인 '인터뷰 코더'를 이용해 아마존, 메타 등 대형 기술기업의 개발자 인턴십 면접을 통과해 오퍼까지 받았다.
 
그는 아마존과 면접 과정에서 이 도구를 사용하는 장면을 직접 촬영해 이를 공개해 큰 인기를 끌었다. 아마존이 이에 항의하고 학교 측에 징계를 요구하면서 그는 정학 처분을 받았다. 공동 창업자인 샨무감씨도 AI 도구와 관련해 학교 측으로부터 정학 1년의 징계를 받았다.
 
이 씨는 학교를 그만두고 클루엘리를 창업했고, 인터뷰 코더를 시험이나 면접과 영업, 회의 등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확장했다. 앞서 지난 21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클루엘리가 출시됐다"며 "모든 것을 속이자"라고 홍보하기도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