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 넘게 자사주 쥔 기업들…이재명 '소각 의무화'에 시선 집중

  • 상장사 다수 소각 않고 장기 보유

  • "시장 출회 차단땐 투자심리 개선'

그래픽아주경제
[그래픽=아주경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자사주 소각 제도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히면서 자사주 보유 비중이 높은 기업들에 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자사주 소각이 제도화되면 해당 주주가치 제고와 함께 주가 상승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2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상장사 중 발행주식 대비 자사주 비중이 40% 이상인 기업은 △조선내화(50.9%) △일성아이에스(48.8%) △조광피혁(46.6%) △텔코웨어(44.1%) △부국증권(42.7%) △매커스(41.1%) △모토닉(40.5%)으로 총 7개였다.
 
전체 상장사 중 자사주를 일정 비율 이상 보유한 기업도 상당수다. 지난해 말 기준 자사주를 5% 이상 보유한 상장법인은 총 514개사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코스피 상장사는 226개사, 코스닥 상장사는 288개사였다. 자사주 보유 비율별로는 5% 이상 10% 미만이 288개사로 전체의 56%를 차지했다. 10~15%는 111개사, 15~20%는 52개사, 20~30%는 45개사였으며, 자사주를 30% 이상 보유한 기업도 17개사에 달했다.
 
자사주를 대량 보유하고도 소각은 물론 배당조차 하지 않는 상장사들도 적지 않다. 조광피혁, 대한방직, 영흥 등 일부 기업은 배당 이력조차 찾기 어려운 상황이다.
 
정부는 자사주 투명성 강화를 위한 제도 개선도 병행하고 있다. 지난해 말 자본시장법 시행령 개정안이 시행되면서 올해부터는 자사주를 5% 이상 보유한 기업은 사업보고서에 자기주식 보고서를 의무적으로 첨부해야 한다. 보고서를 통해 자사주의 처분·소각 계획을 확인할 수 있게 됐다. 다만, 소각 목적이 없는 자사주 매입은 여전히 허용되고 있다.
 
이 전 대표는 21일 금융투자업계와 정책 간담회에서 “상장회사의 자사주는 원칙적으로 소각해 주주 이익으로 환원될 수 있도록 제도화하겠다”고 밝혔다. 자사주 소각을 통해 자기자본이익률(ROE), 주가순자산비율(PBR)을 개선해 국내 증시의 저평가 문제를 해소하겠다는 취지다.
 
개인 투자자들과 기업들의 반응은 엇갈리고 있다. 소액주주들은 자사주 소각이 단기적인 주가 상승으로 이어질 것을 기대하는 반면, 소각 계획이 없는 기업들은 부담스러워하는 분위기다.
 
기업들이 자사주를 취득하는 데는 여러 이유가 있다. 대표적으로는 △자사주를 담보로 설정하거나 △임직원에 대한 성과보상 수단으로 활용 △현물배당에 활용 △절세 효과 △대주주의 경영권 방어 등이 꼽힌다.
 
최관순 SK증권 연구원은 "보유 자사주가 많음에도 주가가 부진하다면 자사주 소각을 검토해 볼 수 있다"며 "자사주 소각이 이론적으로 주가 상승의 직접적인 요인은 아니지만, 시장에 출회될 가능성을 차단하고 시가총액을 감소시킴으로써 투자 심리를 개선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