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3일(현지시간) 미국과의 2+2 통상 협의와 관련해 “기본적으로 지금 상호 관세 부과가 된 것을 철폐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밝혔다.
안 장관은 이날 워싱턴 DC 인근 덜레스 공항에서 관세 협상의 목표를 묻는 취재진 질문에 “상호 관세는 우리가 유예받는 방향으로 협상할 계획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품목별 관세와 관련해서는 “현재 25% 관세가 부과된 자동차의 경우 대미 교역에 큰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며 “가급적 신속하게 이 문제를 풀 수 있도록 협의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여러 가지 산업 협력 플랜을 협의하면서 향후 양국의 원만한 경제·산업 관계를 위해 관세 문제가 불거지지 않도록 최대한 노력할 계획”이라며 “오로지 국익과 우리 산업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미국 측이 자동차 관세에 대해 협상 여지를 보였느냐는 질문에는 “아직 특별히 그런 것을 받은 것은 없다”고 답했다. 그는 “한·미 교역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자동차”라며 “현대자동차 등에서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발표한 바 있는데, 그런 부분을 바탕으로 원만하게 문제를 풀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겠다”고 말했다.
관세 협상을 위한 제안서를 미국에 제출했는지에 대해서는 “아니다”라고 밝히며 “이제 같이 협의해나갈 계획”이라고 했다. 그는 “고위급에서 잘못된 정보가 나온 것 등에 대해 해명하는 팩트시트는 보낸 적이 있지만, 구체적인 협상 계획서가 오간 것은 없다”고 설명했다.
2+2 통상 협의 이후의 일정에 대해서는 “내일 본격적으로 협의를 시작하게 되면 협의 범주, 내용, 일정 등이 확정될 것”이라며 “그에 따라 전반적인 협의 틀을 갖추고 협상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미국 측 발언 기조 변화에 따라 한국 정부의 협상 전략에도 변화가 있는지를 묻는 말에는 “저희가 예상한 바”라며 “우리가 그동안 준비해 온 것을 갖고 미국 측과 협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개별 국가와 조기 협상 타결을 추진하는 미국 측 분위기와 관련해서는 “여러 상황을 점검하고 차분하고 진지하게 협상을 이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대미 협상 관련 기업과의 협력 상황에 대해서는 “민관이 공동으로 여러 가지 노력을 하고 있다”면서도 “구체적으로 기업에 지원 요청을 한 것은 없다”고 밝혔다.
2+2 협의에서 방위비 분담금 문제가 포함되는지에 대해선 “2+2 협의 내용에는 그런 부분들은 포함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면담 일정 여부에 대해서는 “아직은 없다”고 밝혔다.
안 장관은 전날 방미한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함께 24일 오전 미국 재무부에서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USTR)와 2+2 통상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안 장관은 이날 워싱턴 DC 인근 덜레스 공항에서 관세 협상의 목표를 묻는 취재진 질문에 “상호 관세는 우리가 유예받는 방향으로 협상할 계획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품목별 관세와 관련해서는 “현재 25% 관세가 부과된 자동차의 경우 대미 교역에 큰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며 “가급적 신속하게 이 문제를 풀 수 있도록 협의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여러 가지 산업 협력 플랜을 협의하면서 향후 양국의 원만한 경제·산업 관계를 위해 관세 문제가 불거지지 않도록 최대한 노력할 계획”이라며 “오로지 국익과 우리 산업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미국 측이 자동차 관세에 대해 협상 여지를 보였느냐는 질문에는 “아직 특별히 그런 것을 받은 것은 없다”고 답했다. 그는 “한·미 교역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자동차”라며 “현대자동차 등에서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발표한 바 있는데, 그런 부분을 바탕으로 원만하게 문제를 풀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겠다”고 말했다.
관세 협상을 위한 제안서를 미국에 제출했는지에 대해서는 “아니다”라고 밝히며 “이제 같이 협의해나갈 계획”이라고 했다. 그는 “고위급에서 잘못된 정보가 나온 것 등에 대해 해명하는 팩트시트는 보낸 적이 있지만, 구체적인 협상 계획서가 오간 것은 없다”고 설명했다.
2+2 통상 협의 이후의 일정에 대해서는 “내일 본격적으로 협의를 시작하게 되면 협의 범주, 내용, 일정 등이 확정될 것”이라며 “그에 따라 전반적인 협의 틀을 갖추고 협상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미국 측 발언 기조 변화에 따라 한국 정부의 협상 전략에도 변화가 있는지를 묻는 말에는 “저희가 예상한 바”라며 “우리가 그동안 준비해 온 것을 갖고 미국 측과 협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개별 국가와 조기 협상 타결을 추진하는 미국 측 분위기와 관련해서는 “여러 상황을 점검하고 차분하고 진지하게 협상을 이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대미 협상 관련 기업과의 협력 상황에 대해서는 “민관이 공동으로 여러 가지 노력을 하고 있다”면서도 “구체적으로 기업에 지원 요청을 한 것은 없다”고 밝혔다.
2+2 협의에서 방위비 분담금 문제가 포함되는지에 대해선 “2+2 협의 내용에는 그런 부분들은 포함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면담 일정 여부에 대해서는 “아직은 없다”고 밝혔다.
안 장관은 전날 방미한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함께 24일 오전 미국 재무부에서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USTR)와 2+2 통상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