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전쟁과 관련 연일 중국에 유화 메시지를 발산하고 있다. 이에 악화일로로 치닫던 미·중 관세전쟁 협상 국면에 접어들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23일(현지시간) 블룸버그·로이터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열린 행정명령 서명식 후 기자들과 만나 '얼마나 빨리 중국에 대한 관세율을 내릴 수 있느냐'는 질문에 "그건 중국에 달렸다"고 답했다. 이어 "향후 2∼3주 안에 관세율을 (새로) 정할 것"이라며 "(이 새로운 관세율에는) 중국이 포함될 수 있다"고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145%에 달하는 대중 관세가 너무 높다며 인하 가능성을 시사한 데 이어 인하 시점까지 거론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중국과의 직접 협상이 이뤄지고 있느냐는 질문에는 "그렇다. 매일 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날 미국의 대중 관세율이 50%대로 인하될 것이라는 보도도 나왔다. WSJ는 백악관 고위 관계자를 인용해 트럼프 행정부가 대중 관세를 50~65% 수준으로 절반 이상 인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현재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해 말 하원 중국위원회가 제시한 것과 유사한 단계적 접근 방식을 고려하고 있다. 미국의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품목에는 35%의 관세를 부과하고, 국가 전략 품목에는 100% 이상의 관세를 부과하는 방식이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대한 일방적인 관세 인하는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중국과 딜(합의)을 추진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그것은 공정할 것"이라고 했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 역시 '폭탄 관세'에 대해 "양측 모두 그것이 지속 가능한 수준이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다"며 인하 가능성을 시사하면서도, 트럼프 대통령이 일방적으로 먼저 조치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WSJ의 대중 관세 50%대 인하 관련 보도에 대해서는 "그런 논의가 진행된다고 (해도) 놀라지는 않을 것"이라면서도 "양측이 상호적 방식으로 내린다고 해도 놀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