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괘불 시초 '부여 무량사 미륵불 괘불도' 국보 지정

  • 길이 약 14m에 달하는 초대형 규모

  • 장엄신 괘불의 시작점 열어

 
부여 무량사 미륵불 괘불도 사진국가유산청
부여 무량사 미륵불 괘불도 [사진=국가유산청]

국가유산청은 조선 후기 괘불도인 ‘부여 무량사 미륵불 괘불도(扶餘 無量寺 彌勒佛 掛佛圖)’를 국가지정문화유산 국보로 지정했다고 24일 밝혔다.
 
괘불도는 사찰에서 야외 의식을 거행할 때 내거는 대형 불화다. 압도적 규모와 다양한 도상은 우리나라만의 독창적인 문화유산이다.
 
이번에 국보로 지정된 ‘부여 무량사 미륵불 괘불도’는 길이가 약 14m에 달하는 초대형이다. 머리에 화려한 보관을 쓰고 신체를 아름답게 장식한 보살형 입상 형식으로 표현됐는데, 이러한 장엄신 괘불의 시작점을 연 작품이라는 점에서 미술사적으로 중요하다. 초대형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균형 잡힌 자세와 비례, 적·녹의 강렬한 색채 대비, 밝고 온화한 중간 색조의 조화로운 사용으로 종교화의 숭고함과 장엄함을 효과적으로 구현했다. 
 
이 괘불은 화기를 통해 법경(法冏), 혜윤(慧允), 인학(仁學), 희상(熙尙) 등 제작 화승과 1627년(조선 인조 5년)이라는 제작 연대를 명확히 알 수 있다. 기존에 국보로 지정된 다른 괘불도들보다도 제작 연대가 앞선다. 또한 화기에 ‘미륵(彌勒)’이라는 주존 명칭을 밝히고 있어 일찍이 충청 지역에서 유행한 미륵대불 신앙의 전통 속에서 제작된 괘불도임을 알 수 있다. 이후에 제작되는 유사한 도상의 괘불 제작에도 많은 영향을 미쳐 우리나라 괘불도의 확산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부여 무량사 미륵불 괘불도 전체 사진국가유산청
부여 무량사 미륵불 괘불도 전체 [사진=국가유산청]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