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백악관에 복귀한 뒤 90여일 동안 강경한 관세 정책을 밀어붙였지만, 최근 잇따라 한발씩 물러선 모습은 시장의 반응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3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적수를 만났다”며 “그건 바로 시장”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전 세계 국가들을 상대로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며 정책 강도를 높였다. 그러나 국채 금리가 급등하고 주식시장이 크게 흔들리자, 그는 결국 9일 중국을 제외한 국가들에 대한 관세를 90일 유예하겠다고 발표했다.
같은 기간 S&P500은 12% 넘게 하락했고,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3.85%에서 4.51%까지 급등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시 “국채 시장은 매우 민감하다”며 시장 상황을 인지하고 있었음을 시사했다.
관세 정책 수정 움직임은 중국을 향한 발언에서도 드러났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2일 대중국 관세가 “매우 높다”며 “상당히 낮아질 것”이라고 말해 후퇴 가능성을 열어뒀다.
블룸버그와 CNN은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월마트와 타깃 등 대형 유통업체 대표들과 만나 “관세가 매장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것”이라는 우려를 들은 것이 영향을 미쳤다고 전했다.
연방준비제도(Fed)의 제롬 파월 의장에 대해 연일 압박 발언을 이어오던 트럼프 대통령이 “해고할 생각은 없다”고 태도를 바꾼 것도 같은 맥락으로 해석된다. 파월 의장 해임 시 시장이 더욱 불안정해질 수 있다는 경고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다우존스 마켓데이터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 S&P500은 10.3% 하락해 1928년 이후 집권 첫 94일 기준 가장 부진한 성적을 기록했다. S&P500은 최근 10거래일 중 7일간 1% 넘는 변동을 보였고, 이달의 시장 변동성은 2020년 코로나19 초기 이후 가장 클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WSJ는 이러한 증시 불안이 새로운 정상 상태, 이른바 ‘뉴노멀’로 자리잡을 수 있다고 평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