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인화 광양시장은 지난 14일 아주경제와의 인터뷰에서 “2025년은 민선 8기 후반기를 시작하는 매우 중요한 시점”이라며 “미래 신산업 육성과 일자리 창출, 체류형 관광기반 확충 등을 중심으로 광양시의 미래를 착실히 준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민생경제 안정과 산업위기 선제 대응
정 시장은 현재 시정의 가장 중요한 과제로 민생경제 안정과 국제 통상환경 변화에 따른 산업위기 대응을 꼽았다. 정치적 혼란 속에서도 시정은 흔들림 없이 추진됐고, 시민 삶을 지키기 위한 민관산 협업체계도 가동 중이다.
광양시는 포스코, 상공회의소 등과 함께 ‘민생안정 소비촉진협의체’를 구성해 지난 2월 1차 회의를 개최했으며, 이달 중 2차 회의도 계획하고 있다.
또한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과 함께 강화된 보호무역 기조에 대응하기 위해 ‘관세정책 대응 간담회’를 열고, 산업위기 대응 특별지역 지정 및 이차전지 특화단지 추가 지정을 지속적으로 건의하고 있다.
동북아 물류 중심 ‘광양항’ 재도약 추진
광양시는 전략적 기반 자산인 광양항의 경쟁력 강화에도 힘을 쏟고 있다. 특히 전면항로 수심이 16m로 대형 선박 운항에 제약이 있다는 점을 개선하기 위해, 2026년 국비 27억원을 확보해 수심을 17m로 깊이는 방안을 해양수산부·기재부에 건의 중이다.
광양항 배후단지에 대한 투자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으며, 지난해 기준 광양항은 전국 항만 중 수출입 물동량 1위를 기록했다. 시는 이차전지 기회발전특구 지정과 2조4000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 성과를 기반으로 글로벌 물류거점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고 있다.
신성장 동력, 이차전지·수소산업 집중 육성
광양시는 이차전지와 수소산업을 양대 미래 전략 산업으로 육성하며 산업구조 전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광양 동호안과 세풍산단, 율촌1산단은 지난해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됐고, 시는 전주기 밸류체인 구축을 통해 첨단소재산업 기반을 갖춘다는 계획이다. 첨단신소재연구센터도 올해 상반기 중 착공되며, 인력 양성 프로그램도 병행 추진된다.
정 시장은 “향후 국가첨단전략산업 및 소부장 특화단지로 지정되면, 광양은 명실상부한 K-배터리 중심도시로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수소산업은 2028년까지 생산-이송-활용을 아우르는 수소 생태계를 완성하는 것이 목표다. 시는 이를 통해 청정에너지 시대를 선도할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전략이다.
권역별 체류형 관광지 조성…경제·문화 동력 확보
광양시는 체류형 관광을 통해 지역경제와 문화산업을 동반 성장시키겠다는 구상이다. 백운산, 구봉산, 섬진강 등 권역별 인프라가 속속 확충되고 있으며, 매화마을은 최근 ‘한국관광 100선’에 선정되며 브랜드 가치를 입증했다.
백운산권역에는 산림박물관, 동백정원, 산림복지단지 등이 조성 중이며, 구봉산에는 숲속야영장이 상반기 중 개장을 앞두고 있다. 섬진강권역에서는 별빛 스카이와 모노레일 등 체험형 관광 자원이 인기를 끌고 있다.
논란이 있었던 어린이 테마파크 조성과 관련해서는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와 관광 콘텐츠 확충을 위한 전략적 선택이었다”고 밝혔다. 해당 지역은 복합관광거점으로 조성될 예정이다.
일부 공약 조정…현실 반영한 행정 유연성 발휘
광양시는 민선 8기 공약 115개 가운데 112개를 추진 중이며, 지난해 말 기준 이행률은 74.6%다. 유사 과제는 통합하고, 필요성이 낮아진 일부는 조정 또는 폐지했다.
‘임산부 건강관리비 지원 확대’와 ‘생애초기 건강관리 지원’은 하나의 통합 사업으로 전환했으며, ‘광양읍 통학로 개설’ 등은 현지 여건을 반영해 정리했다.
정 시장은 “헌법재판소의 대통령 탄핵 인용 이후, 갈등을 넘어 치유와 통합의 시간으로 나아가야 할 시점”이라며 “시민 삶의 안정을 지키기 위한 행정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정인화 광양시장은 “광양시는 언제나 시민과 함께 한다”며, “탄탄한 민생과 신성장 전략을 바탕으로 더 나은 광양의 미래를 만들어가겠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