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SDI가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손실이 4341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5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2491억원) 대비 적자전환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3조 1768억원으로 34% 줄었고, 순손실은 적자전환한 2160억원으로 나타났다.
사업 부분별로 살펴보면, 배터리 부문 적자가 확대됐다. 배터리 부문 매출은 2조 980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9%, 전분기 대비 16.4% 감소했다. 영업손실 폭도 4524억원으로 확대됐다.
전기차 및 전동공구용 배터리 등 주요 고객의 재고 조정과 ESS(에너지저장장치) 시장의 계절적 비수기 진입한 여파다. 전자재료 부문 매출은 195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4% 감소했으나 전분기 대비 3.1%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183억원으로 집계됐다.
삼성SDI는 2분기부터 전방 수요가 점진적으로 회복되며 실적도 차츰 개선될 것으로 기대했다. 전기차 부문 주요 주문자상표부착(OEM) 업체들의 재고 조정이 마무리되고, 이산화탄소(CO2)규제 및 전기차 지원 정책이 시행되는 유럽을 중심으로 수요가 회복되고 있는 점을 이유로 들었다.
또 삼성SDI는 수요 변화에 적극 대응하고 주요 고객들과 하이니켈 NCA(니켈·코발트·알루미늄), LFP(리튬인산철), 46파이 배터리 등의 신규 프로젝트 논의를 마무리하고 본격적으로 수주 확보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전고체 배터리 업그레이드 샘플을 준비하는 등 미래 성장을 위한 준비도 지속한다는 전략이다.
삼성SDI는 "2분기 역시 경영환경의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나, 실적은 1분기를 저점으로 개선될 것"이라며 "자사는 실적 개선을 추진하는 동시에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준비도 차질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