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능화·첨단화 된 자금세탁…금융권, 당국 제재 받을까 노심초사

  • 금융위 자금세탁방지 업무규정 개정

  • 준법감시인·보조책임자 지정하고 시스템 재구축

사진챗GPT
[이미지=챗GPT]

금융권이 자금세탁방지 체계 고도화에 나서고 있다. 최근 대포통장과 가상자산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자금세탁수법이 교묘해지자 금융위원회가 은행권의 내부통제 책임 소재를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기 때문이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최근 45억원을 들여 준법·자금세탁방지시스템 재구축을 위한 IT자원 구매에 나섰다. 준법지원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효율성을 높이고 대·내외적 내부통제 역할 강화를 위한 최적화된 시스템을 재구축하기 위해서다.

국민은행은 준법감시인 아래 자금세탁방지부를 두고 관련 리스크 관리를 강화할 방침이다. 다음 달 중순까지 자금세탁방지 관련 인력의 역할을 세분하는 작업에도 나설 계획이다.

다른 은행들도 자금세탁 상시 모니터링 인력을 확충하고 시스템 정교화에 나서고 있다. 신한은행은 자금세탁방지부를 자금세탁방지본부로 확대 개편하고 2022년부터 자금세탁방지 업무를 총괄하고 있는 정해영 자금세탁방지부장을 상무로 신규 선임했다. 우리은행도 준법감시인 산하에 자금세탁방지본부를 두고 이달 의심 거래 보고제도(STR) 역할을 할 수 있는 자금세탁방지(AML) 경력자 채용에 나섰다.

NH농협은행은 이재홍 준법감시인을 자금세탁방지 담당 임원으로 뒀다. 이 감시인은 금융위에서 10년 동안 공직 생활을 한 뒤 김앤장법률사무소에서 16년 동안 금융 분야 변호사로 일한 인물이다. 농협은행은 관련 조직을 강화하기 위한 개편 작업도 검토하고 있다. 

은행들이 자금세탁방지 시스템을 강화하는 이유는 금융위의 자금세탁방지 업무규정 개정안에 발 맞추기 위해서다. 금융위는 다음 달 13일 자금세탁방지 담당자별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나누는 것을 골자로 하는 자금세탁방지 업무규정 개정안을 실시한다. 보고 책임자를 별도로 임명해 독립성을 강화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금융위 관계자는 "매년 이뤄지는 업권별 검사를 통해 자금세탁방지 업무규정 개정안의 이행 여부를 점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인터넷은행과 가상자산업계도 취약부분에 대한 특별점검,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 토스뱅크는 자금세탁방지팀(AMLT)에 10여 명의 인력을 두고, 자금세탁방지 보고책임자로 준법감시인인 양수지 이사를 임명했다. 업비트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한 차세대 자금세탁방지시스템을 자체 개발했다. 또 입금처가 확인되지 않은 100만원 미만의 출금은 제한하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실적 개선만큼 내부 통제, 자금세탁 관리에도 무게감이 실리고 있다"며 "외부 업체 자문을 통해 당연히 생각하던 부분도 다른 시각에서 볼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