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현재 유심 100만 개 보유…"해킹 피해 발생 시 100% 책임질 것"

  • 5월 말까지 추가 500만 개 확보…차후 수요 보고 유심 마련

  • 비정상인증시도 차단 강화 조치 최고 수준 격상해 운영 중

  • 해외 로밍 이용자, 공항에서 유심 교체 가능하도록 지원

  • 과기정통부 "민관합동조사단, 사고 원인 조사 중"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가운데를 비롯한 임원들이 25일 서울 중구 SKT타워에서 SK텔레콤 이용자 유심USIM 정보가 해커 공격으로 유출된 것과 관련해 사과하고 있다 20250425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가운데)를 비롯한 임원들이 25일 서울 중구 SKT타워에서 SK텔레콤 이용자 유심(USIM) 정보가 해커 공격으로 유출된 것과 관련해 사과하고 있다. 2025.04.25[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SKT는 27일 100만 개의 유심(USIM)을 보유하고 있으며, 오는 5월 말까지 500만 개 유심을 추가 확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유심보호서비스 가입자에 대해서는 유심 해킹 피해가 발생할 경우 100% 책임지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이날 SKT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최근 발생한 유심 해킹 사고와 관련해 피해 방지 대책을 협의 후 '유심보호서비스로 해킹 피해를 막겠다, 피해가 발생하면 SKT가 100% 책임지겠다'는 내용의 입장문을 발표했다.

회사에 따르면 현재 SKT는 약 100만 개의 유심을 보유하고 있는 상황이다. 5월 말까지 약 500만 개 유심을 추가로 확보하고 고객 수요에 따라 계속 유심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어 오는 28일 오전 10시부터 전국 2600여곳 T월드 매장에서 희망 고객 대상 무료 유심 교체를 진행한다. 온라인 예약 신청도 접수한다.

다만 SKT는 "일시에 많은 고객이 몰릴 경우 많은 불편이 예상된다"며 "먼저 유심보호서비스에 가입해달라"고 요청했다.

SKT는 유심호보서비스로 해킹 피해를 막을 수 있고, 피해 발생 시 100% 책임지겠다는 입장이다. 이날 오후 6시 기준 유심보호서비스에 가입한 사람은 554만명으로 SKT 전체 가입자 2300만명의 약 24% 해당한다.

유심보호서비스는 지난 2023년 불법 유심복제로 인한 피해를 차단하기 위해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와 협력 과정에서 개발했다. 고객 유심 정보 탈취, 복제하더라도 타 기기에서 고객 명의로 통신서비스에 접속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회사는 해외 로밍 시에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오는 5월 중 유심보호서비스를 고도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유심보호서비스 외에 비정상인증시도 차단(FDS) 강화 조치도 최고 수준으로 격상해 운영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해외 로밍 이용자를 위한 대책도 내놨다. SKT는 과기정통부, 국토교통부와 협의 후 공항 로밍센터에서 유심 교체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SKT는 "출국자가 제일 많은 인천공항 측과 특별 협의를 거쳐 로밍센터 인력을 50% 더 늘려 서비스를 지원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인파가 몰려 유심 교체를 받지 못하고 나간 고객이 해외에서 유심 불법 복제 피해를 입은 경우 SKT가 책임지겠다"고 덧붙였다.

SKT 측은 "사이버 침해 사고로 인해 고객 불편을 끼쳐드린 점에 다시 한 번 사과드린다"며 "이번 사고가 조기에 해결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과기정통부도 "현재 민관합동조사단을 통해 사고 원인을 철저히 조사 중"이라며 "향후 국민들에게 조사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할 계획"이라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