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중견기업연합회 28일 발표한 ‘2025년 중견기업 금융 애로 조사’ 결과에서 이 같이 나타났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올해 2월17일부터 2월28일까지 중견기업 748개 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올해 자금 사정이 작년보다 악화했다고 답한 기업은 28.7%로 집계됐다. 60.4%의 중견기업은 대동소이하다고 응답했고 자금 사정이 나아진 중견기업이 10.9%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금 사정이 악화됐다고 응답한 중견기업의 33.0%는 현 상황이 개선되지 않으면 올해 하반기 유동성 절벽에 직면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중견련 관계자는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 등 글로벌 환경 변화와 지속되는 내수 침체에 따른 업황 부진에 따라 매출 감소를 자금 사정 악화의 가장 큰 요인으로 지목한 기업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자금 사정이 악화한 상황에서도 중견기업의 16.7%는 ‘인건비 상승(43.2%)’, ‘원·부자재 가격 상승(34.4%)’, ‘설비투자 확대(29.6%)’ 등 요인으로 자금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견기업의 자금 조달 경로는 시중은행(53.6%), 정책금융(11.6%), 직접금융(9.8%) 등 순으로 집계돼 중견기업에 대한 정책금융의 불균형 배분이 여전한 것으로 확인됐다.
중견기업들은 ‘엄격한 지원 요건(28.7%)’, ‘정책 자금 정보 부족(21.3%)’ 등으로 정책금융 접근에 제약이 크다고 응답했다. 제조 중견기업 16.8% 대비 비제조 중견기업 7.7%, 매출 5,000억 원 이상 24.0% 대비 매출 3,000억 원 미만 8.9% 등 업종·매출 규모별로도 정책금융 활용 편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중은행을 활용하는 중견기업들은 ‘높은 금리(49.9%)’, ‘까다롭고 복잡한 심사(8.8%)’, ‘과도한 담보·보증 요구(8.0%)’ 등 애로를 겪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직접금융을 통해 자금을 조달한 중견기업은 9.8%로 이 중 절반 이상이 ‘회사채 발행(63.0%)’에 집중된 것으로 조사됐다.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수출을 포함한 경제 전반에서 중견기업이 차지하는 중심적 역할을 감안할 때, 보다 효과적으로 중견기업의 활력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정책금융의 문턱을 낮추고, 시중은행의 경직적인 운영 기준을 완화하는 등 중견기업이 겪는 고질적인 자금 조달 애로를 시급히 해소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