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비엘바이오, IGF1R 단일항체 유라시아 특허 결정

사진에이비엘바이오
이상훈 에이비엘바이오 대표 [사진=에이비엘바이오]
에이비엘바이오는 퇴행성뇌질환 치료제 개발을 위한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 1 수용체(IGF1R) 단일항체의 유라시아 특허 결정을 받았다고 28일 밝혔다. 해당 특허는 2020년 6월 국제 출원됐으며, 이번 특허 결정으로 에이비엘바이오는 IGF1R 단일항체에 대한 권리를 2040년까지 보호받을 수 있다.

IGF1R은 세포의 성장과 생존 신호를 전달하는 수용체로, 다양한 신호 경로를 통해 대사와 생리적 기능을 조절한다. IGF1R은 타 조직 대비 뇌를 보호하는 뇌혈관장벽(Blood-Brain Barrier, BBB)에 다수 발현돼 퇴행성뇌질환을 포함한 다양한 질환 분야 연구에서 중요한 표적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특히, IGF1R이 다수 분포하는 BBB의 경우, 바이러스나 세균 등의 이물질로부터 뇌를 보호하는 장벽이지만, 약물의 출입 역시 제한해 퇴행성뇌질환 치료제 개발을 어렵게 하는 장애물이 되고 있다.

에이비엘바이오는 IGF1R을 표적해 항체, RNA 등의 약물이 BBB를 효율적으로 투과할 수 있도록 돕는 셔틀(Shuttle), ‘그랩바디-B(Grabody-B)’ 플랫폼을 개발했으며, 이를 활용해 퇴행성뇌질환의 근본적인 병인을 치료하는 약물을 개발하고 있다. 그랩바디-B가 적용된 대표적인 파이프라인으로는 사노피에 기술 이전된 파킨슨병 치료제 ABL301이 있다. ABL301은 현재 미국에서 임상 1상 마무리 단계에 있다.

지난 2023년 글로벌 제약사 로슈(Roche)가 BBB 셔틀을 적용해 아밀로이드 베타(Aβ) 항체의 뇌 전달율을 높인 트론티네맙의 긍정적인 초기 임상 데이터를 발표한 이후, 그랩바디-B를 비롯한 BBB 셔틀에 대한 전세계의 관심이 매우 뜨거운 상황이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이러한 흐름을 기회로 삼아 다양한 글로벌 제약사들을 대상으로 그랩바디-B 플랫폼에 대한 기술이전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에이비엘바이오 이상훈 대표는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등의 퇴행성뇌질환은 환자의 삶의 질을 현격히 저하시키는 무서운 질환이지만 치료제 개발이 어려워 미충족 수요가 매우 큰 분야"라며 "해당 플랫폼을 활용해 다양한 신약이 개발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