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정책 거듭 옹호…美재무 "中도 협상할 것"

  • 트럼프 "관세 수입 통해 소득세 면제도 가능"

  • 베선트 "트럼프 관세 정책은 전략적 불확실성"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UPI·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UPI·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수입을 통해 소득세를 면제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집권 2기 출범 이후 밀어붙이고 있는 관세 정책의 혜택이 자국 국민들에게 돌아갈 것임을 부각하며 악화하고 있는 여론을 반전시키기 위한 시도로 풀이된다.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도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을 “전략적 불확실성”이라고 옹호하면서, 무역 전쟁을 벌이고 있는 중국도 결국 관세 협상에 나설 것이라고 내다봤다.
 
트럼프 대통령은 27일(현지시간) 자신이 소유한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관세가 부과되면 많은 사람의 소득세가 크게 줄어들거나, 심지어 완전히 면제될 수 있다”고 적었다.

특히 그는 “연간 소득이 20만 달러(약 2억9000만원) 이하인 사람들에게 (이러한 혜택이) 집중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새로운 공장 및 제조시설이 건설 중이거나 계획되면서 이미 엄청난 규모의 일자리가 창출되고 있다”며 “이것은 미국에 엄청난 호황이 될 것이며 (관세를 걷을) 대외소득청이 출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핵심 참모들도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을 적극 감쌌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미 ABC방송 인터뷰에서 상호관세 발표 후 일부 완화 및 유예를 되풀이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해 “게임 이론에서 전략적 불확실성이며 협상 상대방에게 최종 목표를 밝히지 않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런 협상 지렛대를 창출하는 데는 트럼프 대통령이 가장 뛰어나다”고 추켜세웠다.
 
베선트 장관은 미국이 부과한 145%의 중국에 대한 관세에 대해 “중국은 이 높은 관세 수준이 그들의 기업에 지속 가능하지 않다는 점을 깨달을 것”이라며 중국과 협상의 첫 번째 원칙으로 관세 전쟁에서 확전을 피하는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중국의 비즈니스 모델은 미국에 저가의 보조금 지원 상품을 판매하는 것에 기반을 두고 있다”며 “이 공급이 갑자기 중단되면 중국 경제도 갑자기 멈출 것이기 때문에 그들은 협상할 것”이라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관세 정책을 거듭 옹호한 것은 악화하는 여론을 의식한 결과로 해석된다.

미 워싱턴포스트(WP)가 여론조사기관 입소스와 함께 지난 18~22일 미국 성인 2464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이날 발표한 온라인 여론조사 결과(오차범위 ±2%포인트)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직무수행에 대해 ‘긍정적’이라고 평가한 응답자는 39%, ‘부정적’은 55%였다.

이는 WP의 지난 2월 조사 때 지지율 45%보다 6%포인트 하락해 30%대로 떨어진 것이다.

구체적인 정책 중에는 ‘주식시장 혼란’ 관련 부정 평가가 67%로 긍정평가(31%)를 압도했으며, ‘관세 정책’에 대해서도 64%가 부정적(긍정적 34%)이라고 답했다.

블룸버그통신은 1분기 미국의 경제성장률을 0.4%로 전망해 2022년 2분기(0.3%) 이후 3년 만에 최저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지난해 4분기 성장률 2.4%과 비교해 크게 낮아진 수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