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의대협 30일 이전에 만나야…학사 유연화 없어"

정부가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이전 규모인 3천58명으로 확정한 17일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이전 규모인 3058명으로 확정한 지난 17일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 [사진=연합뉴스]
교육부가 의대 학생회 대표 조직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의대협)에 의대생 유급 시한일인 30일 이전에 만나자고 제안했다.

김홍순 교육부 의대교육지원관(의대국장)은 28일 정부세종청사 브리핑에서 "유급 확정 전에 만나는 게 문제 해결에 가장 좋은 타이밍이라 30일 이전으로 요청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의대협이 응한다면 내일이라도 당장 대화하겠다"고 했다.

김 국장은 "의대협이 5월 초를 제안한다면 그건 어렵다. 간담회 시점이 유급 처분 직후가 되면 학생들에게 오해 소지를 줄 수 있기 때문"이라며 "30일 이후라면 구체적 시기는 조정해야 한다는 의견을 의대협에 전했다"고도 했다.

김 국장은 간담회가 성사되면 교육부로선 학사유연화 외에는 논의 테이블에 가져갈 '카드'가 없지 않으냐는 질문에 "학사 유연화가 또 거론될 확률은  0%"라고 잘라 말했다.

교육부는 현재 의대생 수업 참여율이 높지 않다고 판단하고 있다. 지금 같은 복귀율로는 24·25학번 분리교육은 어렵다고 본다. 김 국장은 "24·25·26학번이 내년 1학년에 모두 겹치면 대부분 대학이 26학번에게 수강신청 우선권을 주는 내용으로 학칙 개정을 할 것"이라며 "4월 30일까지 수업에 복귀하지 않으면 그 책임과 부담은 24·25학번이 모두 지게 된다"고 했다.

김 국장은 일부 의대에서 진행 중인 '수업 복귀 의향'을 묻는 설문조사와 관련해선 "대략 70% 학생이 수업 복귀를 원하는데 강경파 의대협의 일괄적 입장 때문에 잘 드러나지 않은 것"이라며 "다수 학생 의견을 직접 확인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해 긴급하게 설문조사를 돌린 것"이라고 했다.

이어 "의대협이 '설문조사에 답할 때 전원 복귀에 동의하라'는 내용의 문자를 공지했다는 제보를 받았다"며 "그러나 의대협 의도대로 '100% 동의' 결과가 나오지 않은 대학이 몇몇 있는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