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3사, 1분기 호실적…고부가 선종 수주·환율 상승 효과

  • 한화오션, 1분기 영업익 2586억…전년比 389%↑

  • HD조선해양·삼성重도 1분기 '호실적'

미국 해군 군수지원함인 ‘월리 쉬라’호가 함정 정비를 성공적으로 마치고 출항하고 있다 사진한화오션
미국 해군 군수지원함인 ‘월리 쉬라’호가 함정 정비를 성공적으로 마치고 출항하고 있다. [사진=한화오션]

 

국내 대형 조선사들이 선별 수주 전략과 철강재 가격 하락, 원화 약세 등 유리한 외부 환경에 힘입어 올해 1분기 폭발적인 성장을 기록했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오션, HD한국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국내 조선 3사는 1분기 뚜렷한 성장세를 나타냈다. 한화오션은 매출 3조1431억원, 영업이익 2586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7.6%, 322.9% 증가했다. HD한국조선해양의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22.8% 늘어난 6조7717억원, 영업이익은 436.3% 증가한 8592억원으로 집계됐다. 삼성중공업은 매출 2조4943억원, 영업이익 1231억원을 기록해 각각 6%, 58% 성장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한국 조선업계의 이번 성과는 외형과 내실을 모두 갖춘 성장의 결과"라며 "고부가가치 및 친환경 선박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는 미래 시장 주도권 확보의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아주경제DB
[사진=아주경제DB]


이번 실적 개선은 단순한 수주량 확대가 아니라 고부가가치 선박 중심의 포트폴리오 재편과 생산 효율화에 힘 입은 바가 크다. HD한국조선해양은 8분기 연속 흑자를 이어갔으며 삼성중공업은 영업이익률을 개선했다. 국내 조선업계가 벌크선 중심 저수익 구조에서 벗어나 체질 개선에 성공한 셈이다.

실적 상승의 핵심 요인으로는 2021년 이후 수주한 고가 선박의 본격 인도, 후판 가격 하락, 원·달러 환율 상승 등이 꼽힌다. 특히 LNG선 건조 비중이 전체 수주의 40%를 넘어서면서 수익성이 낮은 저가 수주 비중이 줄었다.

세계적인 탈탄소화 흐름과 국제해사기구(IMO)의 온실가스 배출 규제 강화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HD한국조선해양의 엔진기계 부문 매출은 48.7%, 영업이익은 103.3% 증가해 친환경 선박 수요 확대가 실적에 직결된 것으로 나타났다.

선박 개조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글로벌 선박 개조 시장은 2028년까지 약 42억 달러(약 5조8,000억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국내 조선사들은 축적된 기술력과 개조 경험을 바탕으로 시장 선점에 적극 나서고 있다.

조선 3사는 실적 개선에 만족하지 않고 미래 대비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HD한국조선해양은 디지털·친환경 기술 고도화와 스마트 조선소 구축, 자율운항 기술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삼성중공업은 '부유식 해상 LNG플랜트(FLNG)' 생산 역량 강화를 통한 해양플랜트 시장 확대를 꾀하고 있다. 한화오션은 고부가가치 선박과 친환경 선박 수주 확대에 집중하며 첨단 해양 기술 개발과 스마트 조선소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한화오션은 이날 실적 발표 후 컨퍼런스콜에서 "미국 필라델피아주 소재 필리조선소의 생산능력을 2배 이상 늘리도록 생산설비를 확장할 것"이라며 "도크 2개가 있는데 하나는 암벽으로 쓰고 있어 리노베이션 휴지 기간 없이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