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도한 개인정보 수집 논란 등으로 국내서 신규 다운로드 서비스를 잠정 중단했던 중국의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가 한국 정부의 개인정보 관련 시정권고를 일부 수용하고, 국내 서비스를 재개한 것으로 확인됐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딥시크는 이날 한국어 버전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공개하고, 개인정보 일부 정책을 개정했다.
우리 정부의 지적사항을 대부분 받아들인 것이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지난 23일 열린 제9회 전체회의에서 '딥시크 사전 실태점검 결과'를 심의·의결한 지 닷새만이다.
딥시크는 이번에 개정된 처리방침에서 한국에 대한 별도의 부속 규정을 새로 마련하고 '한국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수해 개인정보를 처리한다'고 명시했다.
또 이용자 개인정보를 중국 내 회사 3곳과 미국 내 1곳 등 모두 4개 해외 업체로 이전한다면서, '이용자가 개인정보 이전을 거부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딥시크는 이날부터 국내 앱 마켓에서 다운로드 서비스를 재개했다. 구글 안드로이드 마켓과 애플 앱스토어 검색창에 '딥시크' 또는 영문명 'deepseek'를 검색하면, 해당 앱이 노출되고 내려받을 수도 있다.
앞서 개인정보위 점검 결과 딥시크는 국외 이전에 대해 이용자 동의를 받거나 처리방침을 공개하지 않았고, 중국에 있는 틱톡 모기업인 바이트댄스의 자회사인 볼케이노로 국내 고객이 딥시크 채팅창에 입력한 프롬프트 정보를 넘겼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개인정보위는 딥시크에 국외 이전 시 합법적인 근거를 충실히 마련하고, 프롬프트 정보 즉각 파기와 한국어 처리방침 공개 등을 시정권고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