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시설 복합화로 지역소멸에 대응

사진한국문화관광연구원
[사진=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원장 김세원)이 '인구위기에 따른 지역문화시설 역할 변화예측 및 대응방안 연구' 보고서를 통해 인구감소와 지역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지역문화시설의 역할과 전략을 제안했다.

연구원에 따르면, 2022년 기준 대한민국의 합계 출산율은 0.78명으로 세계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고령화 속도 역시 세계 최고 수준이다. 또한 청년층의 수도권 인구 집중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이러한 인구구조 변화는 지역소멸 속도를 높였고, 현재 89개의 시군구가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됐다. 

인구 소멸을 극복하기 위한 문화시설 차원의 대응이 요구되는 상황.

실제 문화서비스에 대한 개개인의 수요는 다양화·고도화되고 있다.

특히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은 인구 오너스기(Demographic Onus, 일할 수 있는 젊은 사람은 줄어들고 부양해야 할 노년층은 늘어나는 시기) 이후에도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며 지역 문화 인프라로서의 잠재력을 입증하고 있다.

연구원은 국·공립 도서관은 유치원과 초·중·고등학교를 포함한 교육시설과 연계하고, 박물관·미술관은 대학시설과 연계하는 문화시설를 복합화하는 등 지역별 문화시설 필요성과 활성화에 관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새롭게 시설을 건립해 문화공간을 확보하는 것보다 매우 효율적인 대안이라는 것. 

김연진 연구위원은 “문화시설의 복합화와 연계전략은 각 지역별 중장기적인 문화시설 입지 전략 수립 시 고려돼야 할 요소다. 특히 문화시설 기대효용도를 지역별 특성에 맞춰 활용함으로써 인구위기에 따른 지역 간 문화서비스 불균형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세원 원장은 “문화시설이 단순한 여가시설이 아니라 지역을 유지하고 공동체를 회복시키는 핵심 인프라로 기능할 수 있어야 한다”며 “특히 액티브 시니어를 위해 각 지역의 문화시설을 '평생교육센터화'하는 것은 인구소멸대응과 지역 균형발전의 중요한 축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연구원의 '인구위기에 따른 지역문화시설 역할 변화예측 및 대응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전문은 연구원 누리집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