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감독원이 소비자의 펀드 이해도를 높이고 상품에 대한 전달력을 높이기 위한 펀드 설명 합리화에 나선다. 소비자 절반 이상이 펀드 이해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다.
금융감독원은 29일 김미영 금융소비자보호처장 주재로 은행, 증권사, 자산운용사 등과 함께 '공모펀드 상품설명 합리화'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금감원이 지난해 은행 14곳, 증권사 14곳의 펀드 가입 관련 상담 시간을 미스터리 쇼핑으로 조사한 결과 평균 약 61.7분으로 집계됐다. 2023년 국민인식 설문 결과에서는 전체 응답자의 57%가 펀드 가입 시 상품 설명을 이해하기 어렵다고 응답했다.
이에 금감원은 TF를 통해 실제 펀드 가입 현장에서 소비자와 금융회사 모두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설명 합리화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금융회사가 설명의 정도와 방식을 조정할 수 있는 정보 종류 및 소비자 유형을 구체화하고, 상품설명서도 가입에 필요한 핵심적인 정보 위주로 재구성해 전달력을 높일 계획이다. 4~6월 중 실무 논의를 거쳐 합리화 방안을 마련하고 3분기 중 후속조치를 이행한다.
업계 참석자들은 "소비자들이 펀드의 구조 및 위험 요인 등을 보다 정확히 인지하고 가입 결정을 내릴 수 있게 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김미영 처장은 "미스터리 쇼핑 및 국민인식 조사 통해 긴 가입 시간에도 소비자들이 펀드 이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게 확인됐다"며 "이번 TF를 통해 소비자들이 공모펀드를 보다 쉽고 정확하게 이해하고 가입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