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표=한국은행]
우리나라 달러자금시장에 외국인과 국내 거주자 영향이 6대 4 수준인 것으로 확인됐다. 서학개미의 해외투자가 급증하면서 과거처럼 외국인이 쥐고 흔들 수 있는 시장이 아니라는 분석이다.
한국은행이 29일 발표한 'BOK 이슈노트: 우리나라 무위험 금리평형 편차의 변동요인 및 파급효과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무위험금리평형 편차(CIPD)가 외국인 요인에 의해 변동한 기간은 61%, 거주자 요인에 의해 변동한 기간은 39%로 나타났다.
CIPD는 현물시장에서의 달러 조달 금리와 파생상품을 통한 달러 조달 금리 간 격차를 의미한다. 미 국채 등 달러 자산을 담보로 현물시장에서 글로벌 은행들로부터 원화 기반의 투자자들이 파생상품시장을 통해 달러를 빌리기 위해 지불하는 일종의 가산금리다.
달러를 빌려주고 원화를 조달(셀 앤 바이)하는 외국인은 CIPD만큼의 편익을 수취하고, 원화를 빌려주고 달러를 조달(바이 앤 셀)하는 거주자는 CIPD만큼의 비용을 지불한다. 차익거래 유인은 대체로 40bp 수준에서 등락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그동안 CIPD는 주로 외국인의 원화채권 투자유인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춰왔지만 최근 '서학개미'로 불리는 국내 거주자의 해외투자가 크게 늘어나면서 CIPD는 달러 조달 비용으로서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김 과장은 CIPD의 변동요인을 거주자(수요) 및 외국인(공급) 요인으로 분해해 분석했는데 단순히 외국인 요인에 의해서만 결정되지 않고 양측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IPD의 변동은 현물환율과 외국인·거주자의 채권투자 흐름에도 영향을 미쳤다. 외국인이 차액결제선물환(NDF)을 매입하면 해당 거래 상대방인 외은지점은 이 거래로 발생한 선물환 매도 포지션의 청산을 위해 현물환을 매입하고 이를 달러자금시장에 공급하게 된다. 이 경우 원·달러 환율은 상승하고 CIPD는 하락하게 된다. 채권투자 측면에서도 CIPD의 상승은 외국인의 원화채권 투자를 늘리고 거주자의 해외채권 투자를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 과장은 "외국인 투자자의 NDF 거래가 이후 외은지점의 파생거래 등을 통해 현물환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CIPD의 상승은 외국인의 원화채권 투자 유인을 높인다"면서 "CIPD는 달러자금을 공급하는 외국인의 입장에서 달러를 공급하고 수취한 원화를 원화채권에 투자하려는 유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은행이 29일 발표한 'BOK 이슈노트: 우리나라 무위험 금리평형 편차의 변동요인 및 파급효과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무위험금리평형 편차(CIPD)가 외국인 요인에 의해 변동한 기간은 61%, 거주자 요인에 의해 변동한 기간은 39%로 나타났다.
CIPD는 현물시장에서의 달러 조달 금리와 파생상품을 통한 달러 조달 금리 간 격차를 의미한다. 미 국채 등 달러 자산을 담보로 현물시장에서 글로벌 은행들로부터 원화 기반의 투자자들이 파생상품시장을 통해 달러를 빌리기 위해 지불하는 일종의 가산금리다.
달러를 빌려주고 원화를 조달(셀 앤 바이)하는 외국인은 CIPD만큼의 편익을 수취하고, 원화를 빌려주고 달러를 조달(바이 앤 셀)하는 거주자는 CIPD만큼의 비용을 지불한다. 차익거래 유인은 대체로 40bp 수준에서 등락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김 과장은 CIPD의 변동요인을 거주자(수요) 및 외국인(공급) 요인으로 분해해 분석했는데 단순히 외국인 요인에 의해서만 결정되지 않고 양측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IPD의 변동은 현물환율과 외국인·거주자의 채권투자 흐름에도 영향을 미쳤다. 외국인이 차액결제선물환(NDF)을 매입하면 해당 거래 상대방인 외은지점은 이 거래로 발생한 선물환 매도 포지션의 청산을 위해 현물환을 매입하고 이를 달러자금시장에 공급하게 된다. 이 경우 원·달러 환율은 상승하고 CIPD는 하락하게 된다. 채권투자 측면에서도 CIPD의 상승은 외국인의 원화채권 투자를 늘리고 거주자의 해외채권 투자를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 과장은 "외국인 투자자의 NDF 거래가 이후 외은지점의 파생거래 등을 통해 현물환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CIPD의 상승은 외국인의 원화채권 투자 유인을 높인다"면서 "CIPD는 달러자금을 공급하는 외국인의 입장에서 달러를 공급하고 수취한 원화를 원화채권에 투자하려는 유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