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스턴바이오사이언스, 자회사 넥스턴바이오 흡수합병 결정

 
넥스턴바이오사이언스 로고 사진넥스턴바이오사이언스
넥스턴바이오사이언스 로고. [사진=넥스턴바이오사이언스]
넥스턴바이오사이언스가 자회사 넥스턴바이오를 흡수합병한다고 29일 공시했다. 회사는 이번 합병을 통해 비용 절감과 경영 효율성 제고 등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고 사업 구조를 개선할 계획이다.

이번 합병은 신주 발행 없이 진행되는 소규모 무증자 흡수합병 방식이다. 합병이 완료되면 넥스턴바이오사이언스는 존속법인으로 남고, 넥스턴바이오는 소멸된다. 합병비율은 1대 0이다. 주주 확정일은 2025년 5월15일, 합병 기일은 같은 해 7월1일이다.

회사 관계자는 "넥스턴바이오는 2021년 4월 넥스턴바이오사이언스가 100% 출자해 설립한 자회사로 차세대 바이오·헬스케어, IT, 디지털 전환 분야에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적 투자를 지속해왔다"며 "비용 절감과 효율적인 경영·관리를 위해 이번 합병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합병 이후에는 차헬스케어, 로스비보, 클러쉬 등 기존 투자 자회사들과의 효율적인 경영 관리를 통해 기업 경쟁력을 더욱 높일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넥스턴바이오는 지난 2023년 7월 '대신-Y2HC 신기술투자조합 제1호'를 통해 차헬스케어에 120억원 규모의 전략적 투자를 단행한 바 있다. 차헬스케어는 미국, 호주, 싱가포르, 일본 등 7개국에 걸친 의료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 내 입지 강화를 목표로 2026년 기업공개(IPO)를 준비 중이다.

당뇨 및 비만 치료에 효과적인 miRNA 기술을 기반으로 한 신약 개발 프로젝트에 집중하고자, 로스비보에 투자를 했으며, 이를 통해 도출될 신약이 성공적으로 상용화될 경우, 헬스케어 산업 전반에서의 경쟁력 강화와 해외 진출 시 강력한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넥스턴바이오는 지난해 5월 에이온인베스트먼트를 통해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 전문 기업인 클러쉬에 투자를 한 바 있다. 클러쉬는 지난해 10월 네이버클라우드로부터 투자를 유치했으며, 11월에는 피앤아이인베스트먼트로부터 추가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최근에는 국내 주요 금융지주회사에 PaaS 플랫폼을 공급 및 구축했으며, GenAI 사업에서도 AI인프라의 효율적 관리을 위한 솔루션으로 채택되는 등 금융권을 AI 서비스 경쟁력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또 회사는 코스닥 법인인 이브이첨단소재 와 코스피 법인인 미래산업 , 비상장사인 롤코리아 등을 주요 종속회사로 두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