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기청소년 3명 중 1명은 극심한 우울감을 경험했다. 일반청소년보다 고립감도 3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29일 여성가족부는 이같은 내용의 '2024년 위기청소년 지원기관 이용자 생활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위기청소년은 가정이나 학업, 사회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청소년을 일컫는다.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1년간 2주 내내 일상생활을 하기 힘들 정도로 슬프거나 절망감을 경험한 위기 청소년은 33.0%로 나타났다. 이는 직전 조사인 2021년(26.2%)보다 6.8%p 늘어난 수치다.
최근 1년간 자살을 시도한 위기청소년은 8.2%로 2021년(9.9%)보다 1.7%p 감소했다. 하지만 자해를 시도해 본 경험이 있는 위기청소년은 21.5%로 2021년(18.7%)보다 2.8%p 늘었다.
자살 시도의 주된 이유는 심리불안(37.3%), 가족 간의 갈등(27.0%), 학업문제(15.0%)가 꼽혔다. 이중 학업문제는 2021년(4.7%) 대비 10.3%p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관련해 황여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보호복지연구본부장은 “위기청소년의 경우 코로나19 시기 비대면, 디지털 원격 학습 환경에 취약해 학습 결손이 심화하면서 그 격차를 크게 느꼈을 수 있다”며 “학습 결손이 자립에 대한 불안, 심리적 불안으로 이어진 작용이 클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위기청소년이 다른 사람으로부터 고립돼 있다고 느끼는 비율은 43.5%에 달했다. 이는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에서 나온 일반청소년(14.0%)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황 본부장은 "청소년기의 가장 중요한 사회적 지지 체계는 가정인데 위기청소년 가정의 지지 기반이 상당히 취약한 경우가 많았다"며 "이 때문에 사회적 고립감을 강하게 느끼는 것으로 해석된다”고 했다.
여가부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위기청소년이 안전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청소년복지·보호정책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청소년 상담 1388(365일 24시간)과 240개의 청소년상담복지센터를 통해 자살 자해 및 학교폭력 등 위기 상황에 놓인 청소년의 맞춤형 서비스를 통합 지원한다. 아울러 위기청소년 안전망 시스템을 통해 유관기관과 연계해 위기청소년 발굴을 확대해 나간다.
실태조사는 지난해 6∼9월 청소년상담복지센터와 청소년쉼터 등 위기청소년 지원기관을 이용했거나 입소한 경험이 있는 만 9∼18세 청소년 4627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