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30일 권대영 금융위 사무처장 주재로 비상대응회의를 하고 SKT 유심 복제 등을 통한 부정 금융거래 등 2차 피해 우려와 관련한 대응책을 논의한다.
이는 유출된 정보가 악용돼 명의도용에 의한 금융사기 등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소비자 불안이 확산하는 데 따른 것이다.
금융당국과 금융회사는 금번 해킹으로 발생할 수 있는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긴밀한 공조체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사고 발생 시 즉각 대응할 방침이다.
해킹사고 이후 일주일 간(4월22~28일) 비대면 계좌개설 안심차단은 약 35만명, 여신거래 안심차단은 약 45만명의 소비자가 서비스를 신청했다. 특히 해킹사고 이후 전체 신청 인원 중 40대 이하의 비중이 약 65%를 차지하는 등 청년층의 신청이 급격하게 증가했다.
금융당국은 해킹 관련 금융사고 신고센터를 통해 이번 SKT해킹과 관련된 금융사고 피해를 접수 중이라며 앞으로 비상대응반 설치·운영을 통해 소비자 피해 예방을 위해 최선을 다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금융위 관계자는 "금융당국과 금융회사는 해킹으로 발생할 수 있는 금융사고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다각적으로 노력하고 있다"며 "과도한 우려나 불필요한 오해를 지양해 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