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미래 도약 위한 대선 지역 공약 공식 발표

  • 경북 발전 선도할 10대 핵심 공약, 37대 프로젝트, 158개 사업 제시

  • 1번 지역 공약...산불 피해 복구와 혁신적 재창조를 통한 전화위복

  • 22개 시군별 특화 핵심 사업 균형 있게 반영...포용적 지역 발전 견인

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가 30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제21대 대통령선거 대비 경북 지역 공약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경상북도
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가 30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제21대 대통령선거 대비 경북 지역 공약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경상북도]
경상북도가 미래 도약을 위한 ‘제21대 대통령선거 대비 경북 지역 공약’을 공식 발표했다.
 
김학홍 행정부지사는 30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발표를 통해 10대 지역 공약과 이를 구체화한 37개 프로젝트, 158개 사업이 포함되었고 총 사업비는 152조원 규모라고 밝혔다.
 
도는 도정 전 분야에 걸쳐 전략 과제를 발굴하면서도 지난 3월 발생한 산불 피해 신속 복구와 전략 산업 육성을 통한 지역 성장을 최우선으로 뒀으며, 권역별 특성과 여건을 고려해 22개 시군의 지역 특 사업을 균형 있게 반영했다고 강조했다.
 
경북의 1번 지역 공약은 산불 피해 복구와 혁신적 재창조를 통한 완전한 전화위복을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경북이 제안한 산불 특별법이 국회 계류 중에 있어 신속한 피해 복구와 피해 지역의 혁신적인 재창조를 위해서는 특별법 제정이 시급하기 때문이다.
 
두 번째로는 민선 8기 바이오·에너지·반도체·배터리 등 미래 첨단산업으로 산업 구조를 다변화 하는데 성공했다. 이를 더욱 고도화하고 K-푸드테크, 양자와 같이 새롭게 부상하는 분야와 방산, 가상융합·AI, 미래 모빌리티, 이차전지, 반도체 등 7대 전략 산업 집중 육성을 강조했다.
 
경상북도 권역 시군별 핵심 프로젝트 사진경상북도
경상북도 권역 시군별 핵심 프로젝트. [사진=경상북도]
세 번째로 울진 원자력산업단지와 포항의 수소 특화단지를 보유한 경북은 수소경제 1번지이다. 울진에서 원자력수소를 생산해 제조·산업단지가 밀집한 포항 등에 공급하는 수소에너지 고속도로를 추진한다.
 
또 원자로 혁신 생태계 조성과 해상풍력 클러스터 등 환동해 국가에너지 허브로 거듭나 미래 국가 에너지 산업의 거점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네 번째로 전통문화의 본류이자 5한(韓)으로 대표 되는 한글·한복·한옥·한지·한식의 자원을 활용해 한류 문화를 선도하고, K콘텐츠를 글로벌 문화관광화 해 허브로 도약한다는 방침이다.
 
다섯 번째로 경북 전체 면적의 70%를 차지하고 있는 산림을 활용해 산림관광 벨트를 구축해 힐링 명소로 탈바꿈하고, 임가 소득 혁신 프로젝트 추진도 함께 추진한다. 또 낙동강, 금호강, 형산강 국가 3강을 종합 정비 개발해 여름철 홍수 피해 예방과 함께 관광 명소로 재탄생 시킨다.
 
여섯 번째로 중앙 정부에서 극찬한 경북의 농업대전환 혁신 모델을 전국으로 확산하고 스마트 농산물 물류·생산 복합 기지를 건립해 유통·물류 거점으로 거듭난다. 해양 수산 분야에서도 연어 특화생산단지를 조성해 잡는 어업에서 기르는 어업으로 전환해 고소득 산업으로 탈바꿈을 추진한다.
 
일곱 번째로 낙후·소멸 지역에 국가 선도형 의과대학 건립, 어린이 전문 통합의료센터 건립 등을 통해 의료사각지대를 해소하는데도 집중한다.
 
또 아이돌봄클러스터 조성 등 아이천국 육아친화 프로젝트를 통해 경북형 저출생 전쟁을 계속 확대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경상북도 신규 주요 도로철도망 사진경상북도
경상북도 신규 주요 도로·철도망. [사진=경상북도]
여덟 번째 초광역 행정통합과 중앙 권한의 지방 이양을 비롯한 지방분권 개헌도 제안한다. 또 수도권에 집중된 경제력을 지방으로 분산하기 위한 여건 마련에도 앞장선다. 지역의 민간 투자를 방해하는 규제를 완화하기 위해 ‘동해 에너지관광 투자 활성화 특별법’을 제정한다. 경북 신성장 중심 거점 마련을 위해 대구경북신공항 국가 항공물류 스마트 허브 육성도 추진하게 된다.
 
아홉 번째 20년 만에 찾아온 국가 최대 국제 행사인 2025 APEC 정상 회의를 성공적으로 개최하는 동시에 APEC 기념공원과 같은 래거시 사업과 글로벌 경제 협력 네트워크 사업 등을 통해 글로벌 역사문화관광도시로 도약할 수 있도록 추진한다.
 
열 번째로 경제 물류와 유통을 활성화하고 생활 편의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남북9축, 남북10축, 동서5축, 동서3축 등 초광역 고속도로와 중부권 동서횡단철도 경북대구 순환철도 등 지역 거점을 연결하는 철도망을 더욱 촘촘하게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