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업체인 대만 TSMC가 미국 애리조나주에 세 번째 반도체 공장을 착공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는 관세 덕분에 TSMC로부터 투자를 받았다고 홍보했다.
29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TSMC가 미국 사업 확장 계획의 일환으로 미국 내 세 번째 공장을 이날 착공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은 이날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100일을 맞아 단일 외국 투자로는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라는 TSMC의 애리조나 공장 현장을 찾았다.
러트닉 장관은 웨이저자 TSMC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를 비롯한 경영진과 만남을 가졌다.
애플과 엔비디아의 주요 칩 제조업체인 TSMC의 투자는 미국 정부의 자국 내 제조업 유치를 위한 노력의 주요 성과로 평가된다.
TSMC는 지난달 백악관에서 미국 내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1000억 달러를 추가로 투자해 공장 등을 증설하겠다고 발표했다.
기존 투자 계획 650억 달러에 추가되는 것으로, 최종적으로 미국 내에 첨단 웨이퍼 제조 공장 6곳과 첨단 패키징 공장 2곳을 짓겠다는 내용이다.
웨이 회장은 4월 실적 발표에서 애리조나 두 번째 공장 건설은 이미 완료됐으며 생산 일정을 앞당기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첫 번째 공장은 지난해 4분기에 대만 내 공장과 비슷한 수율로 대량 생산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웨이 회장은 세 번째와 네 번째 공장은 최첨단 N2 및 A16 공정 기술을 사용할 것이며, 다섯 번째와 여섯 번째 공장도 더 발전된 기술을 사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러트닉 장관은 29일 CNBC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TSMC 추가 투자) 대가로 얼마를 지불했는지 아는가? 0달러다. 관세가 이를 가능하게 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래서 4만명의 건설 노동자와 이후 장기적으로 이곳에 상주할 2만명의 정규직 직원이 반도체를 이곳 미국으로 가져오게 될 것”이라며 “이것이 트럼프 관세 모델의 핵심”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