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뉴스
-
美 반도체 관세에…대만 대응책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내주 반도체 관세율 발표를 예고한 가운데 반도체 강국 대만도 대응에 나서고 있다.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기업 대만 TSMC는 미국 공장 건설에 속도를 내면서 이르면 올해 중반기에 애리조나 제3공장 착공에 돌입할 것으로 보인다. 라이칭더 대만 총통은 대만 정부와 트럼프 행정부 간 관세 협상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TSMC, 애리조나 공장 건설 속도...3공장 용지 정비 돌입 15일 대만 자유재경 등 현지 매체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에도 불 2025-04-15 15:52:36
-
"트럼프에 맞서자" 習, 베트남 등 주변국에 '구애' 작전 미·중 양국간 무역전쟁이 격화하는 가운데 베트남과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등 동남아 3개국 순방에 나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에 함께 맞서기 위한 공동대응 전선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 15일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시진핑 주석은 전날 베트남 하노이에서 또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과 정상회담을 갖고 "일방적 괴롭힘 행위에 함께 반대해야 한다"며 사실상 미국을 에둘러 겨냥했다. 중국은 그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중국을 비롯해 전세계를 상대로 고율 관세를 부 2025-04-15 15:43:51
-
中 틱톡 앞세워 '여론전'…"100불짜리 룰루레몬 레깅스의 진실은?" "룰루레몬 제품의 일부를 생산하는 기업이 중국 이우에 있다. 룰루레몬에서 100달러에 파는 자켓을 이곳에선 6~8달러에 생산한다. 소재와 품질도 똑같다." 틱톡에서 @rosie.sportswear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는 한 중국 인플루언서가 미국 요가복 브랜드 룰루레몬의 중국 저장성 이우의 한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 공장에서 찍은 동영상이다. 이 인플루언서는 룰루레몬 뿐만 아니라 휠라 언더아머와 같은 미국 다른 브랜드 의류도 생산하고 있다며 관심이 있으면 언제든지 연락하라고 말한다. 현재 이 영상 2025-04-15 14:56:40
-
中 유니트리 "美관세 영향 제한적일 것…中로봇 업계 거품 있어" 중국 간판 로봇 기업 유니트리(위수커지·宇樹科技)의 린즈룽 화남지역 총괄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폭탄 관세가 중국 로봇 업계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미 가격 경쟁력이 뛰어나 관세가 인상되더라도 큰 타격이 없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그는 최근 중국 내에서 제기된 ‘휴머노이드로봇 거품론’에 대해서는 인정하며, 중국 휴머노이드로봇 업계가 아직 상용화 단계에 이르지 못했다고도 했다. 린 총괄은 14일 펑파이 등 중국 매체들과의 인터뷰에서 “국내(중국) 2025-04-15 11:28:30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15일) 7.2096위안...가치 0.02% 상승 15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14위안 내린 7.2096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2% 상승한 것이다. 환율이 하락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상승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8.2092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5.0718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8.2092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6.03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04-15 10:19:53
-
[ASIA Biz] 中반도체 장비 '딥시크 모먼트'?···사이캐리어에 쏠린 눈 지난 3월 26일부터 사흘간 상하이에서 열린 올해 중국 최대 규모의 반도체 박람회인 '세미콘 차이나'. 미국의 제재로 자립자강에 속도를 낸 중국 반도체 기업들이 한자리에 모여 첨단 반도체 기술을 선보인 자리였다. 올해 상하이 세미콘의 '다크호스'는 스타트업 4년차 반도체 장비기업 사이캐리어(중국명: 新凱來, 신카이라이)였다. 세미콘 차이나에 다녀온 중국의 한 반도체업계 관계자는 "사이캐리어가 첫선을 보인 반도체 장비는 반도체 첨단 노드 공정을 아우르고 있었다"며 "신제품 2025-04-15 06:00:00
-
[ASIA Biz] 딥시크발 AI칩 수요↑...中 반도체 장비 국산화율 50% 뚫나 중국의 반도체 자급자족 전략으로 중국 반도체 장비 회사들이 최근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해외 반도체 장비를 빠르게 대체하면서 국산화율이 높아지고, 이는 중국 반도체 장비 회사의 글로벌 시장 경쟁력 향상으로 이어지고 있다. 최근 중국경영보는 지난해 중국 반도체 장비 국산화율이 40%에 달한다며, 올해는 50%를 넘어설 것으로 관측했다. 특히 반도체 식각·세척 분야에서의 국산화율이 높은 편이다. 대표적인 기업이 나우라(중국명: 北方華創·베이팡화촹)이다. 중국 반도체 국산화 정책의 수혜자 2025-04-15 06:00:00
-
中 전자상거래 업계, 수출기업 내수 판매 지원...美관세 대응 중국 대형 전자상거래 기업들과 산업 협회들이 미중 관세전쟁 격화로 타격을 입은 수출 기업들의 내수 판매 전환을 위해 지원에 나섰다. 14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 양대 전자상거래 기업인 징둥과 알리바바는 수출 기업들이 중국 국내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을 잇달아 발표했다. 구체적으로 징둥은 향후 1년간 총 2000억위안(약 40조원) 규모 수출상품을 내수용으로 구매하겠다고 밝혔고, 알리바바 산하 신선식품 브랜드 허마(프레시포)는 수출 기업을 위한 ‘신속 2025-04-14 18:22:36
-
골드만삭스, 중국 주가지수 목표치 또다시 하향 조정···미·중 무역 갈등 여파 미국 대형 투자은행 골드만삭스가 미·중 무역 갈등이 심화되면서 이달 들어 두 번째로 중국 주요 주가지수 목표치를 하향 조정했다. 14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골드만삭스의 킹거 라우 중국 주식 수석 전략가는 이날 보고서에서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중국 지수 12개월 목표치를 81에서 75로, 상하이·선전증시 시가총액 상위 300개 종목으로 구성된 CSI 300 지수 12개월 목표치를 4500에서 4300으로 각각 낮췄다. 이달 들어 두 번째로 낮춘 것이다. 그럼에도 새 목표치는 현 2025-04-14 18:13:37
-
中증시, 전자제품 관세 유예·수출 호재에 상승 마감…항셍지수도 2.4%↑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전자제품에 한해 상호관세 부과를 일시적으로 유예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14일 중국 증시 주요 주가지수 모두 상승 마감했다. 장중 발표된 중국 수출 지표도 지수를 지탱했다. 이날 상하이종합지수는 24.58포인트(0.76%) 오른 3223.64, 선전성분지수는 49.86포인트(0.51%) 상승한 3262.81, 9884.30에 장을 마쳤다. 대형주 벤치마크 지수 CSI300과 기술주 중심의 창업판은 각각 8.63포인트(0.23%), 6.54포인트(0.34%) 상승한 3759.14, 1932.91에 마감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11일(현 2025-04-14 17:19:01
-
[속보] 中 증시, 상승 마감…상하이 0.76%↑·선전 0.51%↑ 14일 중국 증시는 상승세로 마감했다. 이날 상하이종합지수는 24.58포인트(0.76%) 오른 3223.64, 선전성분지수는 49.86포인트(0.51%) 상승한 3262.81, 9884.30에 장을 마쳤다. 대형주 벤치마크 지수 CSI300과 기술주 중심의 창업판은 각각 8.63포인트(0.23%), 6.54포인트(0.34%) 상승한 3759.14, 1932.91에 마감했다. 2025-04-14 16:07:14
-
트럼프 관세 폭탄에...中 대미 정책기조, 협상 모색→강경 대응으로 선회 미국과 중국 간 관세전쟁이 당분간 격화일로에서 벗어나지 못할 전망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중(對中) 상호관세를 기점으로 중국이 대미 정책 기조를 ‘협상 모색’에서 ‘강경 대응’으로 전환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중국이 트럼프 1기 때의 경험을 바탕으로 대응 전략을 철저히 준비한 만큼, 강경 대응 기조를 강하게 밀어붙일 것으로 보인다. 로이터통신은 13일(현지시간) 미중 무역전쟁 격화를 피하려고 했던 중국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이 ‘해방의 날’(상호관 2025-04-14 16:06:35
-
中매체가 본 트럼프의 '반도체 관세' 시나리오 세 가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 등 전자제품에 품목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예고한 가운데, 중국 업계에선 국가 혹은 제조업체별 차등 부과, 수입품에 직접 부과, 완제품에 부과 등 여러 시나리오가 나오고 있다. 국가별 부과? 완제품 부과? 반도체 관세 시나리오 중국 반도체 컨설팅 기업인 아이지웨이(愛集微)는 최근 업계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반도체 등 전자제품에 대해 품목관세를 부과하는 예상 시나리오는 크게 세 가지라고 보도했다. 첫째, 한 국가 혹은 제조업체의 글로벌 반도체 생산량과 미국 내 2025-04-14 15:30:22
-
시진핑, 베트남 도착해 국빈방문 일정 개시…"더 깊은 협력 추진하고 싶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4일 베트남 하노이 노이바이공항에 도착해 이틀간의 베트남 국빈방문 일정을 개시했다. 시 주석은 18일까지 진행되는 동남아 순방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전쟁'에 맞서 주변 국가들과의 결집을 시도할 전망이다. 로이터·관영 베트남뉴스통신(VNA)·중국 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시 주석은 이날 하노이 공항에 도착해 발표한 서면 연설에서 베트남과 더 높은 수준과 더 넓은 범위에서 더 깊은 협력을 추진하고 싶다고 밝혔다. 시 주석은 이날 또 럼 베트남 2025-04-14 15:00:30
-
"하늘은 무너지지 않아" 中 3월 수출 두 자릿수 증가했지만 트럼프발(發) 관세 폭탄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3월 수출이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하는 등 양호한 성적표를 냈다. 하지만 미·중 간 관세전쟁이 갈수록 격렬해지면서 향후 중국 대외수출 환경 앞날에 불확실성이 크다는 관측이다. 14일 중국 해관총서에 따르면 지난 3월 중국의 수출은 달러 기준으로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12.4% 늘었다. 앞서 1~2월의 2.3%는 물론, 시장조사업체인 트레이딩이코노믹스의 예상치인 5.2%를 크게 웃돈 것이다. 이는 미국발 관세 인상에 대비해 중국 2025-04-14 12:4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