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뉴스
-
테슬라, 中서 'FSD' 출시 전망...위라이드는 베이징서 로보택시 운행 승인 테슬라가 중국에서 첨단 주행 보조 소프트웨어인 완전자율주행(FSD)을 조만간 출시할 전망이다. 블룸버그 통신은 이날 소식통을 인용해 테슬라가 중국 차량 소유자들에게 도심 도로에서 이용할 수 있는 첨단 주행 보조 소프트웨어인 완전자율주행(FSD) 조만간 배포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테슬라는 현재 중국 직원들을 대상으로 테스트를 실시하고 있으며 수일 내로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한다는 방침이다. 테슬라는 FSD가 차량 교차로 진입 안내, 교통신호 인식, 회전, 차선·속도 변경 등 2025-02-25 18:03:03
-
中증시, 트럼프 투자규제 예고 여파에 하락…항셍지수 1.3%↓ 25일 중국 증시는 하락 마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을 겨냥한 투자 규제를 발표한 여파로 뉴욕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 주식이 폭락하면서 투자 심리를 억눌렀다. 이날 상하이종합지수는 26.99포인트(0.80%) 하락한 3346.04, 선전성분지수는 128.55포인트(1.17%) 내린 1만854.50에 장을 마쳤다. 대형주 벤치마크 지수 CSI300과 기술주 중심의 창업판은 각각 44.07포인트(1.11%), 25.66포인트(1.13%) 떨어진 3925.65, 2240.59에 마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1일 미국의 대중 투자와 중국의 대미 2025-02-25 17:38:33
-
트럼프, 對中 반도체 통제 강화 움직임…관세 넘어 첨단 기술 충돌하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의 대(對)중국 반도체 수출 통제를 전면적으로 강화할 계획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이 소식통을 인용해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트럼프 2기 미국과 중국의 충돌이 관세를 넘어 첨단 기술로 확산될 조짐이다. 보도에 따르면 바이든 전 행정부 당국자들이 트럼프 행정부의 국가안보회의(NSC)에 중국 반도체 수출 통제와 관련한 몇 가지 정책 우선순위를 전달했으며 트럼프 행정부도 이를 수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는 중국 최대 메모리반도체 기업 창신메모리테 2025-02-25 17:02:20
-
[속보] 中증시, 하락 마감…상하이 0.80%↓ 선전 1.17%↓ 25일 중국 증시는 하락 마감했다. 이날 상하이종합지수는 26.99포인트(0.80%) 하락한 3346.04, 선전성분지수는 128.55포인트(1.17%) 내린 1만854.50에 장을 마쳤다. 대형주 벤치마크 지수 CSI300과 기술주 중심의 창업판은 각각 44.07포인트(1.11%), 25.66포인트(1.13%) 떨어진 3925.65, 2240.59에 마감했다. 2025-02-25 16:03:58
-
"中 기업들의 딥시크 열풍으로 엔비디아 H20칩 주문 급증" 중국 기업들이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 딥시크를 잇따라 채택하면서 엔비디아의 AI칩인 H(호퍼)20 주문이 급증하고 있다고 로이터 통신이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로이터는 딥시크 열풍 속에 틱톡 모기업 바이트댄스와 알리바바 및 텐센트 등 중국 대형기술(빅테크) 기업들이 H20 주문을 "대폭 늘렸다"고 6명의 관계자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H20은 엔비디아가 조 바이든 정부의 대중국 제재를 우회하기 위해 내놓은 중국 시장용 AI칩으로, H100의 다운그레이드 버전이다. 바이트댄스는 현재 다른 기업 2025-02-25 14:45:12
-
시진핑에 웃고 트럼프에 우는 中기술주...알리바바 주가 10% 급락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규제 완화 신호 등으로 최근 상승세를 이어오던 알리바바 주가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발언으로 반락했다. 24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알리바바 ADR(미국주식예탁증서) 주가는 10.2% 급락한 129.04달러에 마감했다. 이는 2020년 10월 이후 일간 기준 최대폭 하락이다. 뉴욕증시에 상장한 중국 기업으로 구성된 나스닥 골든 드래곤 차이나 지수도 이날 5.2%나 하락했다. 빌리빌리와 킹소프트클라우드가 10% 이상 하락했고, 바이두는 4% 내렸다. 중국 전자상거래 업계에서 알 2025-02-25 11:19:34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25일) 7.1726위안...가치 0.01% 하락 25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09위안 올린 7.1726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1% 하락한 것이다. 환율이 상승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하락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7.5322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8137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0865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8.15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02-25 10:18:54
-
알리바바, 클라우드·AI에 3년간 75조 투자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인 알리바바가 인공지능(AI)과 클라우드 인프라에 3년간 약 75조원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딥시크 등 중국 AI 산업 발전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주재한 민영기업좌담회 이후 중국 빅테크들이 잇따라 AI 투자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24일 중국 경제매체 차이롄서 등에 따르면 우융밍 알리바바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앞으로 3년간 알리바바는 클라우드와 AI 인프라에 3천800억위안(약 75조원) 이상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이는 알리바바의 AI 및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에 대한 2025-02-24 17:45:48
-
[속보] 中 증시, 약보합 마감…상하이 0.18%↓, 선전 0.08%↓ 24일 중국 증시는 약보합세로 마감했다. 이날 상하이종합지수는 6.08포인트(0.18%) 내린 3373.03, 선전성분지수는 8.33포인트(0.08%) 하락한 1만983.04에 장을 마쳤다. 대형주 벤치마크 지수 CSI300과 기술주 중심의 창업판은 각각 8.72포인트(0.22%), 15.27포인트(0.67%) 내린 3969.72, 2266.24에 마감했다. 2025-02-24 16:10:20
-
中 바이주 표준화…'글로벌 바이주' 만든다 중국이 전통술 바이주(白酒, 고량주) 표준화 작업에 나서며 바이주 글로벌화에 시동을 걸었다. 최근 중국 내수 부진을 타개하기 위해 해외 진출을 적극 모색하는 가운데, 당국도 바이주 산업의 표준화 작업에 속도를 내며 글로벌화를 적극 지원사격하는 모습이다. 24일 중국 관영 환구시보 등에 따르면 중국 전국바이주표준화기술위원회는 최근 '바이주 품질 통칙' 국가표준(의견수렴용 초안)을 발표했다. 여기엔 바이주 정의에서부터 기본 생산공정, 물리·화학적 요구사항, 발효·증류· 2025-02-24 14:08:04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24일) 7.1717위안...가치 0.03% 하락 24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21위안 올린 7.1717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3% 하락한 것이다. 환율이 상승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하락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7.5475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8332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1115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8.60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02-24 10:17:59
-
[중국 화양'영'화] 왕가위가 25년 만에 영화 '화양연화' 확장판 내놓은 이유 지난 14일 중국 상하이 다광밍 영화관 입구에 왕자웨이(왕가위) 감독의 영화 '화양연화(花樣年華)' 대형 포스터가 새로 걸렸다. 다광밍 영화관은 지금으로부터 25년 전인 2000년 '화양연화'가 중국 본토 첫 상영을 한 곳이다. 포스터는 화양연화 남주인공 차우(량차오웨이 분)가 뒤에서 여주인공 첸 부인(장만위 분)을 껴안는 모습을 담았다. (영화 속에서는 등장하지 않는 장면이다). 첸 부인이 입은 흰색 치파오와 붉은색 코트의 선명한 대비는 마치 도덕적 책임과 내면의 욕망의 충돌을 보여주는 듯하 2025-02-22 06:00:00
-
中증시, AI 낙관론에 반도체株 폭등...항셍테크지수 5.8%↑ 알리바바의 어닝 서프라이즈(깜짝 실적)로 인공지능(AI) 관련주에 대한 낙관론에 더욱 힘이 실리면서 중국 증시 주요지수 모두 상승세를 나타냈다. 21일 상하이종합지수는 28.33포인트(0.85%) 오른 3379.11, 선전성분지수는 196.82포인트(1.82%) 상승한 1만991.37에 장을 마쳤다. 대형주 벤치마크 지수 CSI300과 기술주 중심의 창업판은 각각 49.55포인트(1.26%), 55.93포인트(2.51%) 상승한 3978.44, 2281.51에 마감했다. 알리바바는 전날 저녁 실적 보고서를 통해 4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8% 증가한 2801억54 2025-02-21 16:20:03
-
[속보] 中 증시, 상승 마감…상하이 0.85%↑, 선전 1.82%↑ 21일 중국 증시는 상승세로 마감했다. 이날 상하이종합지수는 28.33포인트(0.85%) 오른 3379.11, 선전성분지수는 196.82포인트(1.82%) 상승한 1만991.37에 장을 마쳤다. 대형주 벤치마크 지수 CSI300과 기술주 중심의 창업판은 각각 49.55포인트(1.26%), 55.93포인트(2.51%) 상승한 3978.44, 2281.51에 마감했다. 2025-02-21 16:05:31
-
"땡큐 AI" 알리바바 실적도 주가도 고공행진 중국 대형기술기업(빅테크) 알리바바의 지난해 4분기 매출·순익 모두 시장 예상치를 웃돈 것으로 나타나며 20일(현지시각) 주가가 장중 한때 15% 치솟았다. 최근 인공지능(AI) 사업에서 활약이 알리바바 실적을 끌어올린 것이다. 알리바바는 향후 AI·인프라 분야에 거액을 투자할 것이란 의지도 내비쳤다. 중국 경제매체 차이신 등에 따르면 알리바바는 이날 실적 보고서를 통해 4분기 매출이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8% 증가한 2801억5400만 위안(약 55조4700억원)에 달했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 예상치 2025-02-21 10:33:09
-
중국 위안화 고시환율(21일) 7.1696위안...가치 0.02% 상승 21일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교역(거래)센터는 위안화의 달러당 기준 환율을 전 거래일 대비 0.0016위안 내린 7.1696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위안화의 달러 대비 가치가 전 거래일 대비 0.02% 상승한 것이다. 환율이 하락한 것은 위안화 가치가 그만큼 상승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날 위안화의 유로화 대비 기준 환율은 7.5388위안, 엔화(100엔) 대비 환율은 4.8227위안, 영국 파운드화 대비 환율은 9.1081위안으로 고시됐다. 위안화 대비 원화 고시 환율은 198.84위안이다. 한편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 2025-02-21 10:18:06
-
중국 반도체 살리는 '차이나 유턴'… 中엔지니어, 애플 떠나 모교로 갔다 미국 등 해외에서 경력을 쌓아 중국으로 귀국하는 엔지니어, 과학자 등 기술 업계 전문가들이 늘고 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애플 출신 중국 엔지니어 왕환위가 묘교인 화중과학기술대학교의 집적회로(CI)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라고 19일 전했다. 왕 교수는 2014년 화중과기대에서 학부 과정을 마치고 바로 미국 유학길에 올라 2015년 노스웨스턴대학교에서 전기 및 전자 공학 석사, 2021년 플로리다대학교에서 전기 및 검퓨터 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같은 해 애플에 입사한 왕 교수는 2025-02-20 17:48:17
-
"무비자로 경제 살리기" 말레이 올해 600만명 中관광객 목표 “무비자 정책 효과를 톡톡히 봤어요. 관광객이나 비즈니스 출장객에겐 정말 편리한 정책입니다." 지난 19일 오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랜드마크인 페트로나스 트윈타워에서 만난 중국인 리씨는 말레이시아(이하 말레이) 방문이 이번이 처음이다. 비즈니스 출장 차 이곳을 방문한 그는 즐비한 마천루가 만들어낸 스카이라인, 말레이계·중국계·인도계·원주민 등 각 민족 문화가 어우러진 이국적 풍경과 다채로운 미식이 마음에 들었다며 특히 비자 신청을 하지 않고 온라인 등록 한 번 2025-02-20 16:45: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