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와 통화당국이 최근 국내요인보다 해외요인이 금융시장 변동성을 주도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필요시 시장안정조치를 신속히 시행할 수 있도록 각 기관이 상황별 대응계획(contingency plan)을 지속 점검·준비할 것"을 당부했다.
최 부총리는 8일 전국은행연합회관에서 거시경제·금융현안간담회(F4)열고 국내외 금융·외환시장 동향 점검과 향후 대응방향을 논의했다.
회의에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병환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국내 채권·자금시장은 대체로 안정적인 모습이지만 계속 예의 주시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판단했다. 지난 3일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 부과조치 발표 이후 미국·유럽 아시아 증시가 일제히 급락하는 등 불안한 모습이다.
이에 국내 금융·외환시장의 변동성이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F4 회의를 중심으로 높은 경계심을 갖고 시장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해 나가기로 했다.
최 부총리는 통상환경 변화가 주요국 성장·물가·통화정책에 미치는 영향과 각국의 정책 대응, 국내 경제에 대한 파급효과 등을 면밀히 분석할 것을 지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